연중 벌에 쏘이는 사고가 가장 발생하는 시기는 9월로 나타났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벌초를 하거나 산에 오를 땐 벌을 자극...
2020년 9월 추석을 앞둔 벌초 모습. 광주/연합뉴스 연중 벌에 쏘이는 사고가 가장 발생하는 시기는 9월로 나타났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벌초를 하거나 산에 오를 땐 벌을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이 7일 공개한 2017∼2021년 응급실 23곳 손상환자 심층조사 결과를 보면, 1년 중 벌 쏘임 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한 달은 9월이었다. 2017년부터 5년간 벌에 쏘여 151명이 입원했고 24명이 숨졌는데, 사망자 역시 9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전체 사망자 중 15명은 벌독 같은 특정 물질에 대해 신체가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숨졌다. 9월 벌 쏘임 사고가 가장 빈번했던 장소는 야외·강·바다였으며, 이어 도로, 집, 농장 및 임업·수산업 등 1차 산업장 순이었다. 9월엔 벌초·화단정리·밤 따기 등 야외활동 중 사고를 당한 경우가 27.3%였는데 조사기간 전체 평균치보다 많았다.
사진 질병관리청 제공 벌 쏘임 사고 주요 예방법으로는 △향이 있는 향수·화장품·스프레이 사용 자제하기 △벌이 공격성을 보이는 어두운색 계열 대신 흰색 계열 밝은색 옷 입기 △소매가 긴 옷 입기 △벌집을 건드렸을 땐 머리 부위를 감싸고 20m 이상 벗어나기 등이 있다. 벌에 쏘였다면 신용카드 등을 이용해 벌침을 최대한 빨리 제거해야 한다. 손이나 핀셋을 이용해 벌침을 제거할 경우 자칫 벌침이 몸 안으로 더 흡수될 위험이 있다. 벌에 쏘인 부위를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뒤 얼음 주머니 등으로 찜질을 하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구역, 구토, 호흡곤란, 입술·혀·목젖 부종, 어지러움, 설사 등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의심되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으니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벌은 10월 중순까지도 활발히 활동하므로 10월까지 벌 쏘임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추석 벌초·성묘 시 주의해야 할 것···하나는 ‘벌 쏘임’, 또 하나는?추석 명절을 앞두고 이른 성묘나 벌초를 할 경우 ‘벌 쏘임’과 예초기 사고에 주의해야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모노 입은 여성’ 붙잡혀가더니…“민족감정 해치면 구류”중국, 치안관리처벌법 강화 중화정신 훼손하는 옷 금지 구류 최대 15일에 벌금까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막 코끼리가 뭐길래...내셔널 지오그래픽이 9월에 보러 가라는 이유내셔널 지오그래픽, 9월 전 세계 여행명소 선정 생태체험·페스티벌·날씨·음식 등 고려한 5곳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벌써 겨울 장사?···편의점이 9월에 핫팩 내놓은 까닭서울 지역 낮 기온이 최고 32도까지 오른다고 예보된 7일 편의점 CU가 핫팩을 출시했다. 늦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날씨] 9월에 여름 더위, 서울 32℃...호남 소나기·동해안 비9월, 가을이 시작됐지만, 계절의 시계는 느리게 가고 있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