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출생자 수가 9년 만에 증가하며 저출생 해결에 희망을 줬지만, 동시에 고령화 심화로 인한 경제활동 위축이 우려되고 있다.
작년 국내 출생자 수 가 2015년 이후 9년 만에 증가하며 저출생 해결에 실낱같은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은퇴 나이인 60대와 70대 인구가 경제의 주축인 40대와 30대 인구를 처음으로 넘어서며 고령화 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다. 출생자 수 는 2017년 40만명대, 2020년 30만명대가 붕괴하며 '인구 절벽'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신혼부부·출산 가정에 대해 주택·양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원책을 쏟아내고, 코로나19 팬데믹도 완전히 종식되면서 분위기가 조금씩 바뀌었다. 혼인 건수가 2022년 19만2000여 건으로 바닥을 찍은 뒤 2023년에는 19만4000여 건으로 소폭 반등했다. 작년 10월 혼인 건수도 1년 전보다 3568건(22.3%) 늘어난 1만9551건을 기록하며 4월 이후 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혼인 건수는 출산의 2년가량 선행지표로 꼽혀 혼인 건수가 늘어나면 출산자 수도 늘어나는 추세를 보인다. 그 결과 3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출생(등록)자 수는 24만2334명으로 전년보다 3.10%(7295명) 늘었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보는'우리나라는 5년 연속 인구가 감소했지만, 9년 만에 출생등록자 수가 증가하며 긍정적인 변화의 기미를 보였다'며'출생아 수 반전의 추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앞으로도 출생아 증가세가 이어질지 회의적인 목소리도 나온다. 코로나19로 지연된 혼인이 엔데믹 이후 한꺼번에 몰리면서 일시적으로 혼인과 출생아가 증가한 것에 불과하다는 분석이다. 이삼식 한양대 고령사회연구원장은'8년간 내리 하락세를 이어오다가 반등했다고 정부의 저출산 정책이 성공했다고 단정하긴 어렵다'며'오른 폭이 미미한 탓에 유의미한 변화라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저출생과 함께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꼽히는 고령화 문제의 심각성도 드러났다. 최근 한국은 65세 노인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급속한 고령화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와 직결된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해 60대 인구는 전년 대비 약 18만명 이상 늘어난 782만명으로 약 19만명 이상 감소한 40대 인구(772만명)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왕성한 경제활동을 펼치고 있는 50대가 870만6370명으로 가장 많지만, 이들의 은퇴가 본격화할 경우 60대가 가장 인구가 많은 세대로 올라설 것으로 관측된다. 70대 이상 인구도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2.94%로 30대 인구(12.93%)를 처음으로 앞섰다. 70대 이상 인구는 전년보다 31만241명 늘어난 662만9643명이었다. 반면 저출산의 영향으로 생산연령인구는 3549만6018명으로 전년 대비 43만5039명 줄었다. 유소년 인구(0~14세)도 546만4421명에 불과해 65세 이상 인구(1025만6782명)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저출생·고령화 가속화로 주민등록 인구는 작년 5121만7221명으로 2020년 이후 5년 연속 감소했다. 수도권 거주 인구는 2604만7523명, 비수도권 인구는 2516만9698명으로 수도권에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9년 만에 출생자 수 증가…한국 인구, 5년 연속 감소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자 수는 24만 2334명으로, 2023년(23만 5039명)보다 7295명(3.10%) 증가했다. 출생자 수가 반등한 건 9년 만에 처음이다. 하지만, 전체 인구는 여전히 감소하고 있다. 태어나는 사람보다 사망하는 사람이 더 많아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생아 수, 14년 만에 최대 증가올해 10월 출생아 수가 1년 만에 13.4% 증가하며 14년 만에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혼인 건수 증가 추세가 이어지면서 줄곧 내리막길을 걷던 출생아 수가 9년 만에 반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프랑스 내각 62년 만에 붕괴, 경제 위기 우려 커져프랑스 하원은 미셸 바르니에 총리에 대한 불신임안을 가결시켜 62년 만에 내각 붕괴를 초래했다. 이로 인해 경제 위기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마크롱 대통령의 거취도 주목받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명절 특수도 집어 삼기나…尹탄핵 정국 속 유통가 설 선물 사전예약 돌입정치·경제 불확실성 지속 뉴스심리지수 2년 만에 최저 유통가 “시장 상황 예의주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소기업, 외국인 근로자만이 수직저출산 고령화 심화로 국내 빈 일자리 채우기 힘든 중소기업, 외국인 근로자 의존 의존도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령층 부채 압박, 저성장 속 빚 부담 심화고령층 대출 비중 증가, 경제 위기 시 연체 위험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