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대 치매 노인이 시 썼다…뇌 되살린 하루 '한 숟가락'

뉴스페어링 뉴스

70대 치매 노인이 시 썼다…뇌 되살린 하루 '한 숟가락'
노화치매훈련법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78 sec. here
  • 11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62%
  • Publisher: 53%

치매 치료 전문의 김희진 한양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특히 기억의 중추인 ‘해마’라는 부위가 빨리 사라진다'며 '뇌가 줄면서 기억력이 떨어지는 게 노화의 과정인데, 이때 건망증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죽었던 뇌세포가 살아난 게 아니라, 시냅스를 되살려서 팔다리를 움직일 수 있는 다른 뇌세포를 활성화 한 것' 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두뇌 훈련으로 극적인 치료 효과를 본 환자의 사례로, 10년 전 외래 환자로 온 70대 노인을 들었다.

70~80대에도 젊은 뇌를 가진 사람들이 있습니다. 국내 치매 환자가 100만명을 넘어섰지만, 어떤 사람들은 여전히 젊은 시절의 총기와 기억력을 갖고 있는데요. 이 차이를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요? 전문가들은 값비싼 해결책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입을 모읍니다. 오히려 생활습관, 운동습관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하는데요. 오늘 ‘추천! 더중플’에선 전문가들이 권하는 뇌 훈련법 기사를 소개합니다.

인간의 뇌는 20세에 완성된다. 완성과 동시에 뇌의 부피가 줄기 시작하는데, 35세 때부터 그 속도가 빨라진다. 치매 치료 전문의 김희진 한양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특히 기억의 중추인 ‘해마’라는 부위가 빨리 사라진다”며 “뇌가 줄면서 기억력이 떨어지는 게 노화의 과정인데, 이때 건망증이 생긴다”고 설명했다.기억력 감퇴가 자연스러운 노화의 과정이라면, 왜 어떤 사람은 동년배에 비해 더 좋은 기억력을 갖고 있는 것일까? 그 비밀은 뇌의 ‘시냅스’에 있다. 김 교수는 “40~50대가 되면 뇌 전체 부피가 해마다 0.5%씩 감소하는데, 한번 죽으면 되살릴 수 없는 신경세포와 달리 ‘시냅스’는 평생 사라졌다가 생겨나기를 반복한다”고 설명했다. 세포와 세포가 연결되면서 학습과 기억 등 신경계 작용이 일어나는데, 이걸 이어주는 게 시냅스다. 기억력이 떨어지기 시작했어도, 뇌를 활발하게 사용하면 시냅스가 되살아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뇌졸중으로 팔다리 마비가 온 환자가 꾸준한 두뇌 훈련으로 3~6개월 뒤에 멀쩡하게 걷는 경우도 있다. 김 교수는 “죽었던 뇌세포가 살아난 게 아니라, 시냅스를 되살려서 팔다리를 움직일 수 있는 다른 뇌세포를 활성화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두뇌 훈련으로 극적인 치료 효과를 본 환자의 사례로, 10년 전 외래 환자로 온 70대 노인을 들었다. “아들이 불의의 사고로 먼저 사망하면서 받은 충격 탓에 치매가 온 환자였어요. 읽고 쓰지 못하게 됐고, 걷는 것도 둔해진 상태였죠. 가족들은 눈치를 못 챘다고 합니다. 치매 증상이 있긴 한데 워낙 공부도 많이 했고, 등단해서 활동했던 작가니까 설마 했던 것 같아요. 두 달 간 약물 치료와 제가 권한 두뇌 훈련을 했더니, 과거에 본인이 썼던 시를 다시 읽을 수 있게 됐다고 해요. 지금도 꾸준히 관리하니까 예전만큼 훌륭한 시를 쓰진 못해도 본인의 소회를 정리해서 쓸 수 있을 정도로 좋아졌어요.”김 교수가 권하는 효과적인 두뇌 훈련법 중 하나는 일기 쓰기다. 하루에 10분 이상 꼭 손으로 쓰길 권한다. 손으로 예쁜 글씨를 쓰려면 전두엽·두정엽·측두엽 등 뇌의 다양한 부위가 협응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컴퓨터로 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뇌과 활성화된다.

김 교수는 “두뇌 훈련은 50세든, 100세든 언제 시작해도 늦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억력을 되살릴 수 있는 ‘다섯 가지 훈련’을 강조했다. 두뇌 훈련을 하겠다고 마음먹는 것만으로도 두뇌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데, 김 교수도 매일매일 실천한다는 이 훈련은 무엇일까? ▶‘ㄱ자’ 단어 1분간 다 대봐라…뇌 노화 아는 간단 테스트뇌에 학습과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이인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숏폼을 볼 때 해마가 일을 안 한다”며 “장기간 숏폼에 노출되면 뇌가 퇴화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 교수는 “정보의 인풋만 하지 말고 아웃풋을 내보라”고 조언하는데요. 뇌의 ‘아웃풋’ 훈련법을 소개합니다.뇌과학자 장동선 박사는 “일주일에 일정 시간 운동을 하지 않으면, 뇌 능력치가 떨어지는 걸 느낀다”고 말하는데요.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노화 치매 훈련법 운동 골든타임 기적 추천!더중플 더중플붐업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치매 환자 운전 면허 관리 문제치매 환자 운전 면허 관리 문제한 해 1만~2만 명의 치매 환자가 운전면허를 취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요양등급을 신청하지 않은 치매 환자의 운전면허 관리 문제가 떠올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집에서 요양' 노인 하루 2시간 돌봄공백…가족 42% '부담 심각''집에서 요양' 노인 하루 2시간 돌봄공백…가족 42% '부담 심각'(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스스로 일상생활을 할 수 없어 돌봄이 필요한 노인이 집에서 요양할 경우 하루 2시간의 '돌봄 공백'이 발생하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치매 운전자 느는데…치매 판정에서 면허취소까지 최장 '10개월'치매 운전자 느는데…치매 판정에서 면허취소까지 최장 '10개월'(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초고령사회 진입과 맞물려 치매 환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치매 판정을 받은 운전면허 소지자의 면허가 취소될 때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통 공감 대신 '명령' 핑계 삼는 뇌, 책임 최소화하는 명령자의 뇌[BOOK]고통 공감 대신 '명령' 핑계 삼는 뇌, 책임 최소화하는 명령자의 뇌[BOOK]심리학‧뇌과학 연구를 하면서 지은이는 1961년 미국 예일대 심리학과 스탠리 밀그램 교수의 ‘권위에 대한 복종’ 실험을 근거로 삼았다. 지은이에 따르면 인간 행동, 동기부여를 담당하는 뇌 변연계(Limbic system)는 타인의 고통‧괴로움을 육체적으로 공감하지 못하고 감정적‧정서적 느낌만 일부 피상적으로 공유하기 때문에 명령이나 지시에 맹목적으로 따르게 된다. 지은이는 뇌신경학적으로 복종의 메커니즘을 더욱 명확히 밝히면 인간이 주체적 의지를 회복하고 부당한 명령 앞에서도 타인을 배려하면서 합리적 판단‧행동을 하도록 이끌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스타그램 10대 계정, 사용 시간 제한 및 부모 관리 기능 도입인스타그램 10대 계정, 사용 시간 제한 및 부모 관리 기능 도입새로운 인스타그램 10대 계정 기능은 청소년의 인스타그램 사용 시간을 하루 1시간으로 제한하고 부모 관리 기능을 통해 안전 설정과 사용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치매 환자 운전사고, 운전 능력 재평가 시급치매 환자 운전사고, 운전 능력 재평가 시급서울 양천구 목동 깨비시장에서 70대 남성이 모는 승용차가 돌진해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양천구 목동 깨비시장에서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 A(74)씨는 2023년 11월 치매 진단을 받았다. 75세 이상 운전자는 정기 적성검사를 받을 때 치매안심센터에서 선별검사를 먼저 받아야 하지만, 75세 미만은 선별검사를 받을 의무가 없다. 전문가들은 치매 환자, 운전 능력, 적성검사 주기, 대책 등을 강조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2 15:5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