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게 공무원됐는데…첫월급은 최저임금? 공무원들 부글부글

대한민국 뉴스 뉴스

힘들게 공무원됐는데…첫월급은 최저임금? 공무원들 부글부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nocutnews
  • ⏱ Reading Time:
  • 2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1%

공무원 9급 1호봉 기본급이 최저임금 이하로 떨어진 것은 물론, 이제 수당까지 합친 세전 월급마저 최저임금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떨어졌다.

서울시공무원노조 제공 최저임금 논쟁에 공무원들이 가담했다. 공무원 9급 1호봉 기본급이 최저임금 이하로 떨어진 것은 물론, 이제 수당까지 합친 세전 월급마저 최저임금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떨어졌기 때문이다.이대로 가면 신입 공무원들을 뽑기도 힘들어지거니와, 기존에 들어왔던 젊은 공무원들도 대거 이탈이 우려된다는게 관가의 분위기다. 이미 임용 5년차 이하 서울시공무원들의 이탈률은 지난 4년 동안 2배 가까이 증가했다.25일 서울시공무원노조와 공무원노조연맹 등에 따르면, 올해 9급 1호봉 공무원의 보수는 기본급이 177만800원이다. 월봉으로 환산한 최저임금 201만580원에 비해 24만 가량 더 적다. 여기에 정액급식비 14만원과 직급보조비 17만5천원을 합쳐도 월봉은 208만5800원으로 최저임금보다 7만원 정도 더 많은 수준이다. 소득세와 건보료 등 공제액을 빼기 전 세전 월급이다.

지난해 최저임금위원회가 발간한 '비혼 단신근로자 생계비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1년에 34세 이하 단신 근로자의 월평균 실태생계비는 221만5920원으로 세전으로 계산한 9급 1호봉 월급보다 13만원 더 많았다. 생계비보다 낮은 수준의 월급을 받고 있는 셈이다.이는 공무원 임금 인상률이 2020년 이후 1%대로 억제됐기 때문이다. 공무원노조는"지난해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5.1%임에도 보수인상은 지난해 1.4%, 올해는 1.7%에 그쳐, 사실상 4.5% 이상 임금이 하락하는 고통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공무원노조 이병무 사무처장은"신입 공무원들이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많은 준비를 하고 학력 수준도 높은 편"이라며"하지만 임용되고 나서 받는 월급은 동기들이 대기업에서 받는 월급의 절반 수준 밖에 안된다. 박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nocutnews /  🏆 18.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민주노총, 주말 도심 1만명 모여 '최저임금 1만2천원으로'민주노총, 주말 도심 1만명 모여 '최저임금 1만2천원으로'이날 현장에서는 '최저임금 차등 적용'에 대한 비판 목소리도 나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저임금 심의 기한 오는 29일…시급 1만 원 돌파 여부 관심최저임금 심의 기한 오는 29일…시급 1만 원 돌파 여부 관심내년도 최저임금 심의 법정 기한이 오는 29일로 다가온 가운데, 최저임금위원회가 27일과 29일에 전원회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저임금 수준 본격 논의…1만원 돌파·심의기한 준수 여부 주목 | 연합뉴스최저임금 수준 본격 논의…1만원 돌파·심의기한 준수 여부 주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내년에도 모든 업종에 최저임금을 똑같이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최저임금 수준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만2천 원' vs '문 닫으란 소리'...최저임금 시한 내 결정 난망'1만2천 원' vs '문 닫으란 소리'...최저임금 시한 내 결정 난망[앵커]내년에 적용할 최저임금으로 노동계는 만2천 원을 제시했습니다.이에 대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은 문을 닫으라는 소리라며 반발하고 있어 얼마 남지 않은 법정 시한 안에 최저임금이 결정되는 것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김평정 기자입니다.[기자]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내년 최저임금 최초 요구안으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저임금 심의 기한 오는 29일…시급 1만 원 돌파 여부 관심최저임금 심의 기한 오는 29일…시급 1만 원 돌파 여부 관심내년도 최저임금 심의 법정 기한이 오는 29일로 다가온 가운데, 최저임금위원회가 27일과 29일에 전원회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노총, 주말 도심 1만명 모여 '최저임금 1만2천원으로'민주노총, 주말 도심 1만명 모여 '최저임금 1만2천원으로'이날 현장에서는 '최저임금 차등 적용'에 대한 비판 목소리도 나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03: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