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국 2배 늘린 브릭스, ‘미 패권에 대항’ 세력 더 키우나

대한민국 뉴스 뉴스

회원국 2배 늘린 브릭스, ‘미 패권에 대항’ 세력 더 키우나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75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3%
  • Publisher: 53%

몸집을 불려 회원국이 2배가 된 비서방 국가 중심의 브릭스(BRICS) 정상회의가 22일부터 사흘 동안 러시아 카잔에서 열린다. 중동·북아프리카에 이어 동남아시아 국가 등이 새 회원국으로 합류해,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에 도전하는 비서방 세력에 동력이 더해질지 관심이 모

22일부터 사흘간 제16차 브릭스 정상회의가 열리는 러시아 타타르스탄공화국 카잔의 한 거리에 20일 ‘브릭스 정상회의 2024’라고 적힌 표지판이 설치돼 있다. 카잔/EPA 연합뉴스

몸집을 불려 회원국이 2배가 된 비서방 국가 중심의 브릭스 정상회의가 22일부터 사흘 동안 러시아 카잔에서 열린다. 중동·북아프리카에 이어 동남아시아 국가 등이 새 회원국으로 합류해,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에 도전하는 비서방 세력에 동력이 더해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올해 브릭스 정상회의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마수드 페제슈키안 이란 대통령 등 비서방 주요 국가의 정상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고 에이피 통신이 21일 보도했다. 러시아 크렘린궁은 이번 정상회의 초대에 32개 나라가 응했고, 이 가운데 24곳에서 정상급이 참여한다고 밝혔다. 2006년 신흥 경제대국인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이 모여 출발한 협의체인 브릭스는 2009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이 합류했고, 올해부턴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이란·이집트·에티오피아가 함께한다. 러시아는 회원국이 추가된 브릭스가 2023년 전세계 국내총생산량의 37.4%를 차지한다고 주장했다.

주변국 시선은 브릭스가 비서방 연합의 외연을 더 확장할지에 쏠리고 있다. 동남아시아 나라인 타이와 말레이시아 정부는 지난 6월 공식적으로 브릭스 가입 의사를 공개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싸고 러시아와 각을 세운 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이기도 한 튀르키예도 지난 9월 브릭스 가입 신청을 했다고 알려졌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는 30개 나라를 포함한 다른 나라가 어떤 형태로든 브릭스의 의제에 참여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고려할 것”이라며 정상회의에서 추가 회원국 가입 여부를 논의할 뜻을 분명히 밝혔다.브릭스 확대는 ‘글로벌 사우스’ 내 입지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브릭스를 주도하는 러시아와 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패권 갈등을 겪는 가운데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에서 벗어나 다자주의와 다극체제를 지향하자고 주장한다. 입장을 공유한 두 나라는 더욱 밀착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과 시 주석은 이번 정상회의를 포함하면 올해 3차례나 만남을 갖는다.

이런 움직임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스튜어트 패트릭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선임연구원은 지난 9일 보고서를 통해 “브릭스플러스의 등장은 동서 간 지정학적 경쟁이 심화하고, 남북이 서로를 소외시키면서 세계가 분열되고 있다는 걸 시사한다”며 “베이징과 모스크바는 반서방 세력을 강화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런 시각에 대응하듯 푸틴 대통령은 지난 18일 간담회에서 “브릭스는 반서방이 아닌 비서방이라는 입장을 회원국들이 공유하고 있다”고 했다.회원국 추가 여부는 브릭스 내부의 이견 조율이 성공적으로 이뤄질지에 달렸다. ‘반서방’ 입장을 경계하는 인도와 브라질 등은 지난해 정상회의에서 회원국 확대에 신중한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의에서는 서방의 경제 제재에 맞서 미국 달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회원국 간의 지급결제 체제 확립 등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전문] 김건 '북한 파병은 차원이 다른 문제… 북·러에 더 강한 압력 넣어야'[전문] 김건 '북한 파병은 차원이 다른 문제… 북·러에 더 강한 압력 넣어야'“북한, 러시아 파병 통해 배후 세력 근거지 마련하고자 해““확전 막기 위해 국제사회가 더 압력 넣어야…경제 제제 강화할 부분 있어“ “러시아가 파병 대가로 무엇을 줄 것이냐도 한반도 정세에 큰 영향““북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연근무로 출산 3배 늘린 '마녀공장'… 이런 中企 더 나와야 [사설]유연근무로 출산 3배 늘린 '마녀공장'… 이런 中企 더 나와야 [사설]정부가 임신·육아기 근로자에 대해 재택근무, 시차 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를 법제화하기로 했다. 또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세무조사를 유예하고, 금융 지원도 강화한다. 기업 근무 형태 다양화와 각종 지원을 통해 저출생 대책의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25일 제4차 인구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울아들 교통사고, 이 사람에게 맡기니 보험금 3배 더 탔다”…알아두면 유익한 손해사정사“울아들 교통사고, 이 사람에게 맡기니 보험금 3배 더 탔다”…알아두면 유익한 손해사정사[인터뷰] 조민규 바로손해사정 대표 “피해자 정당하게 보상받을 때 뿌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햇살 보려면 두 배 더 줘야한다”...반지하서 지상층 가기 위해 필요한 전세금 ‘헉’“햇살 보려면 두 배 더 줘야한다”...반지하서 지상층 가기 위해 필요한 전세금 ‘헉’2022년 집중호우에 따른 반지하 주택 침수 피해 등으로 반지하 주거환경 개선 필요성이 지속 제기되고 있으나, 서울 지하 주택에서 지상 주택으로 올라가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의원(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서울 시내 지상층과 지하층의 평균 전세 보증금은 각각 2억2195만원, 1억457만원으로, 이들 층간 차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尹 대통령, 망언 인사 파면하고 공식사과하라...친일 뉴라이트 뿌리뽑아야”이재명 “尹 대통령, 망언 인사 파면하고 공식사과하라...친일 뉴라이트 뿌리뽑아야”“친일 뉴라이트 세력, 공직에서 뿌리뽑아야 내수경제 심각...신속하게 재정 투입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말 안 듣는 자식이지만…美 정계, 이스라엘 ‘무조건’ 지지말 안 듣는 자식이지만…美 정계, 이스라엘 ‘무조건’ 지지이란·이스라엘 충돌에 대선 영향 촉각 트럼프 “해리스 당선되면 세계 불타” 해리스 “이란이 불안정 초래한 세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8 12:3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