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부진했던 K뷰티 관련주中 수출비중 반토막 났지만美·동남아 등 수출지역 다변화뷰티·미용기기도 동반 인기에이피알 일주일새 18% 상승
에이피알 일주일새 18% 상승 연초 부진한 주가 흐름을 나타내던 국내 화장품·미용기기 관련 종목들 주가가 최근 호실적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들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과거 화장품 소비를 이끌었던 중국 비중이 줄어들고 북미·유럽·동남아시아 등 수출 지역이 다변화됨에 따라 전망도 밝은 편이다.올해 초 기업공개 대어로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던 뷰티·피부미용기기 업체 에이피알은 지난 3일 대비 10일 종가가 18.17% 올랐다. 에이피알 상승세는 주로 외국인 투자자가 이끌었다. 이 기간에 외국인 투자자는 에이피알 주식을 458억원 순매수했다.
외국인 투자자 선호를 바탕으로 한 화장품 관련주의 호황은 비단 코스피뿐만 아니라 코스닥 시장에서도 나타났다. 가령 코스닥 상장사 브이티는 일주일간 18.14% 상승률을 보였는데, 이는 외국인이 64억원을 순매수한 덕택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국내 기관 투자자는 3억원을 순매수하는 데 그쳤고, 개인 투자자는 되레 53억원을 순매도했다.특히 이 분야 대장주로 불리는 아모레퍼시픽이 지난달 말 미국 매출 증가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영업이익을 발표하면서 투자자들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이에 아모레퍼시픽 주가는 실적 발표 이튿날인 지난달 30일 하루 만에 8.72% 오르는가 하면, LG생활건강 역시 5.93% 오르는 등 전반적으로 화장품 관련주가 호조세를 보였다.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처럼 시가총액이 수조 원에 이르는 대형주는 아니지만, 높은 성장성을 바탕으로 주목받는 중소형 종목 역시 덩달아 호실적을 바탕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시가총액이 2000억원 안팎인 토니모리는 올해 매출액 1893억원, 영업이익 184억원을 내 전년 대비 각각 25.28%, 91.67% 증가할 것으로 증권가는 전망하고 있다.이처럼 최근 국내 화장품·뷰티 관련 업체가 유망한 이유 중 하나는 기존에 한국산 화장품 소비를 이끌던 중국뿐만 아니라 북미·동남아 등으로 수출 지역이 다변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키움증권에 따르면 지난 4월 국내 기업의 지역별 화장품 수출액은 중국보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크게 늘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알테쉬가 점령한 해외직구 - 매일경제中 태블릿·이어폰에 몰려통계청 3월 온라인쇼핑동향1분기 中 비중 57%로 최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청률 2%대 추락...‘7인의 부활’ 이러려고 부활했나[多리뷰해][多리뷰해 ㊼ ‘7인의 부활’] 김순옥 작품인데...시청률 2%대 ‘고전’ 시즌2에도 여전한 자극과 무개연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어코 세종보에 물 채우려는 정부... 그러다 또 심판 받는다[세종 '좀비 보'의 민낯] 'MB 망령 부활' 윤석열 정부에 고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에 무역보복…중국판 '슈퍼 301조' 가동中 상무위 '보복관세' 법제화'중국發 과잉공급' 우려 속 美·유럽 관세압박 수위 높여美 블링컨 방중 맞춰 … 中 '高관세 맞대응법' 통과시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사드 보복’ 방관한 미국의 반성…美 국무부 “한국, 中 경제 보복 당하면 도울 것2021년 中 리투아니아 무역보복 후 전담팀 구성 美 당국자 “中 경제 강압에 할 수 있는 모든 것 할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중, 이번엔 ‘희토류 전쟁’...美, 수억달러 보조금 공세전투기·미사일·드론 등에 필요한 희토류 자석 시장 中 90% 이상 점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