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보경 임성호 기자=최근 홍해 사태 여파로 해상 운임과 항공 화물 운임이 동반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보경 임성호 기자=최근 홍해 사태 여파로 해상 운임과 항공 화물 운임이 동반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이러한 운임 고공행진은 기업 실적에는 유리하게 작용하지만, 운임 비용을 감당해야 하는 수출기업에는 부담이 될 전망이다.31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해상 운송 항로의 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는 지난 24일 전주 대비 182.67포인트 오른 2천703.43을 기록했다.특히 홍해 사태로 홍해와 연결된 수에즈운하 통항에 차질이 빚어짐에 따라 유럽과 미주로 향하는 선박들이 아프리카 희망봉을 우회하면서 해당 항로에서 해상운임이 크게 올랐다.유럽 항로 운임도 1TEU당 3천409달러로, 지난주 대비 359달러 올랐다. 해당 항로 운임은 지난해 12월 800∼900달러에 불과했지만 6개월 사이 4배가량 상승했다.
해운업계는 홍해 사태가 당분간 해결되지 못할 가능성이 커 해상 운임 상승세가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조만간 SCFI가 3천선을 넘어 4천선에 육박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는 지난해 11월 이후 홍해를 지나는 선박을 50차례 이상 공격했고, 선박들은 수에즈운하 '관문'인 홍해가 막히자 아프리카 희망봉으로 우회하는 항로를 택하고 있다.해운업계 관계자는"사우디아라비아와 후티 반군 간 10년 동안 이어진 분쟁 관계로 홍해 위기는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오는 9월까지 시장이 정상화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국제 항공 화물 운임지수 TAC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홍콩∼북미 노선 운임은 ㎏당 5.54달러로 전달 대비 13.5% 올랐다.홍콩∼유럽 항공 화물 운임도 지난달 ㎏당 4.47달러를 기록하며 한 달 사이 14% 상승했다. 2019년 4월과 비교하면 68.7% 오른 것이다.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홍해 사태로 해상 운임이 고공행진을 하는 데다, 운송 기간도 길어지면서 수요가 항공 운송으로 이전되는 경향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국제항공운송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국제 항공 화물 수요는 1년 전에 비해 11.4% 증가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월간 국제 항공 화물 수요도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4개월 연속 증가했다.특히 중국에서 출발해 인천공항을 경유, 미국으로 옮겨 싣는 화물량이 크게 늘었다.항공 화물 운임 상승세는 해상 운임 상승에 따른 풍선효과와 중국 이커머스 시장 성장에 힘입어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물류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실적 전망치에 따르면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은 올해 2분기 매출 2조7천280억원, 영업이익 5천53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작년 동기 대비 각각 28.1%, 245.2% 증가한 수치다.특히 자본력이 취약한 중소기업들은 선복 이용 시 장기계약이 아닌 스폿 계약을 맺기 때문에 운임 상승에 따라 받는 영향이 크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고유가에 한숨 깊어지는 화물차 기사들 “운임이 안 맞아” 하소연1년 새 200원 오른 경윳값에 “월 주유비 80만원 늘어”…불경기 여파 운임 하락에 ‘이중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주 정복’ 노리는 중국…앞으론 여기서도 로켓 쏘아올린다는데 [박민기의 월드버스]美와 패권 경쟁 넘어 ‘우주 굴기’ 노려 인구 14억명…육지 로켓 발사 어려워 앞으로는 바다로 나가 ‘해상 발사’ 주력 시간·비용적 측면에서도 큰 장점 있어 다른 나라들도 해상 발사 시스템 구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알테쉬’ 직구 열풍에 슬며시 웃는 ‘이곳’...부진 예상 깨고 실적 늘었다알테쉬 직구물량 늘어나자 비수기에도 국제화물 ‘쑥’ 대한항공 1분기 화물 운송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행 '알테쉬' 컨테이너들 수북 원격조종 로봇이 쉼 없이 쌓아올려'C커머스 허브' 톈진항 가보니축구장 105개 크기 야적장현장인력 없이 100% 자동화'韓 운송후 항공 통해 세계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아베스틸지주, 美에 특수강 생산 거점 세운다...2000억 투자연산 6000t 규모 생산 공장 2년뒤 준공 항공·우주·석유화학 등 전방시장 확대 대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핌코 '한국 물류센터에 더 투자할 것'크리스티안 스트라케 핌코 대표 인터뷰수요 늘어난 항공·기계 등서사모크레디트 대출 확대할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