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까지 나서며 급물살을 탔던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가 최근 특별법 주요 사항을 두고 대구시와 경북도간 이견으로 삐걱대는 모양새다. 25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광역시와 경북도는 행정 통합 뒤 청사 위치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먼저 대구시는 대구, 안
지난 22일 행안부·지방시대위원회·대구시·경북도와 대구시청에서 대구경북 통합 관련 관계기관 회의를 열었다. 대구시 제공25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광역시와 경북도는 행정 통합 뒤 청사 위치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먼저 대구시는 대구, 안동, 포항에 3개 청사를 두는 안을 내놓았다. 대구청사에 통합시장·행정부시장·경제부시장을 두고, 나머지 청사에는 각각 행정2·3부시장을 두는 방식이다. 사실상 통합 청사 본청 역할을 대구청사에서 맡는 셈이다.반면 경북도는 지금처럼 대구시청과 경북도청을 각각 통합 청사로 두자는 입장이다. 대구청사를 중심으로 통합될 경우, 대구권역이 비대해지고 경북도청을 따라 이전했던 유관 기관 단체들이 다시 대구로 이전해야 하는 혼선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다. 또 경북 북부권을 중심으로 한 반대 여론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기초단체 자치권을 두고도 이견을 보인다. 대구시는 서울특별시를 모델로 광역단체와 기초단체 관계를 재설정하고, 3개 청사가 대구권·북부권·동부권 등 시·군을 나누어 관할한다는 구상이다. 반면, 경북도는 중앙정부 권한을 대폭 이양해 시·군 자치권을 현재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구상이다.결정적으로 합의 방식에도 홍준표 대구시장은 ‘속도전’을, 이철우 경북지사는 ‘신중론’을 보이고 있다. 대구시는 권영진 전 대구시장과 이 지사가 지난 2019년 한 차례 공론화를 거친 만큼 각 시·도의회 의결을 통해 합의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특히 홍 시장은 “8월 말까지 합의하지 못하면 9월 특별법안 국회 발의가 사실상 어렵다”며 “행정통합에 매몰되면 다른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달까지 합의가 어려우면 장기 과제로 넘겨야 한다”고 밝히며 경북도를 압박하고 나섰다.
한편 지난 22일 행안부는 지방시대위원회·대구시·경북도와 대구시청에서 연 회의에서 “청사 위치 등 일부 이견이 있지만 지역발전을 위해 반드시 통합이 필요하다는 공감대 속에 절충안을 계속 모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무조건 우리 땅에 지어야 돼”…통합청사 놓고 밥그릇 싸움하는 TK대구市 “통합청사는 대구에” 경북道 “대구·경북에 분산을” 홍준표 “이달 중 합의 안되면 통합은 장기 주제로 밀릴 것” 이철우 경북지사도 강경 입장 “여론 수렴 위해 주민투표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구-경북 행정통합 100일만에 무산... 이견 못 좁혔다'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가 통합 청사 위치와 기초자치단체 사무권한 강화 등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결국 무산됐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27일 오후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오늘 경북도의회가 대구시장 성토장이 된 것은 유감'이라며 '최종 시한이 내일까지이지만 경북도의회 동의는 어려울 것 같다'라고 행정통합 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처·갈등만 남긴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3개월 만에 실패(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1995년 민선자치제 출범 이후 광역자치단체 간 첫 통합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대구시와 경북도간 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구-경북 행정통합, 결국 물 건너가나?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추진하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통합 청사 위치 등 쟁점을 두고 공방이 벌어지면서 사실상 물 건너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0일 오전 간부회의에서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자치권 강화가 핵심'이라며 '중앙부처와 협의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TK 통합’ 최대 위기…청사위치·관할구역 놓고 “양보 못해”이철우 “공론화위원회서 결정” 홍준표 “상식적 수준 합의해야” 이달 내 합의 못하면 장기과제 전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통합하지 말자는 것 아니냐”…대구시 행정통합 일방 발표에 경북 ‘술렁’대구시와 경북도가 2026년 인구 500만 통합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추진 중인 행정통합이 청사 위치 문제 등으로 난항에 빠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시가 청사 관할 지역과 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