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텐그룹 계열사인 티몬과 위메프의 정산 지연 사태가 확산일로로 치닫고 있다. 여행상품권 등을 구매한 소비자들은 사용도 하지 못하고 환불도 받지 못하는 막막한 상황이고, 판매자...
24일 전자상거래 업체인 위메프에 상품을 주문했다가 취소한 한 소비자가 해당 업체에서 온 환불 실패 관련 알림톡 내용을 살펴보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여행상품권 등을 구매한 소비자들은 사용도 하지 못하고 환불도 받지 못하는 막막한 상황이고, 판매자들은 기약 없이 정산금 지급만 기다릴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됐다.
티몬과 위메프는 사실상 정상적인 플랫폼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정산금 지연 사태 후 대형 유통사들이 잇따라 철수했고, 24일부터는 카드결제가 전면 중단됐다. 티몬과 위메프에 올라온 상품 문의란에는 “주문하면 보내주는 것 맞느냐”는 소비자 질문이 빗발쳤다. 위메프와 티몬에서 여행상품이나 항공권, 숙박권 등을 구매한 사람들은 여행사 등으로부터 취소·재결제 안내를 받고 있다. 배달 플랫폼 요기요에서는 티몬에서 특가에 판매한 금액권을 사용할 수 없게 됐다.큐텐 측은 판매대금 지급과 환불 등을 정상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유통업계에서는 이미 ‘셀러런’이 현실화돼 거래량이 줄어들고, 현금이 더 이상 들어오지 않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사업을 이어나가기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 사태가 장기화되면 최악의 경우 큐텐 계열사 파산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파산 등으로 티몬과 위메프가 판매대금을 결국 지급하지 못하게 된다면 이번 사태의 파장은 2021년 ‘머지포인트 사태’ 때보다 훨씬 커질 수 있다. 당시에는 소비자들이 미리 구입한 상품권을 환불받지 못하고 날리는 수준이었지만, 이번 사태는 물품 대금을 받지 못한 업체들의 현금 흐름이 막히며 경제 전반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현재 티몬과 위메프에서 여행사들이 받지 못한 금액은 최소 수백억원대로 알려졌고, 일반 판매자들이 받지 못한 대금은 추정조차 되지 않고 있다.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티몬과 위메프의 결제 추정액은 각각 8389억원, 3082억원이다. 티몬·위메프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파트너사는 6만개에 이른다. 이들이 정산을 받지 못하면 입점 판매자뿐 아니라 물건을 납품한 제조업체, 대출금을 상환받아야 할 금융기관에까지 여파가 미칠 수 있는 셈이다.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는 싱가포르에서 귀국해 해결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통장도 못만들고 이자혜택도 못받아”…사라지는 은행점포에 부모님 어쩌나은행 입출금 등 대면거래 4% 그쳐 코로나 때보다 점포 방문 더 줄어 ATM 수도 급감…금융 사각지대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로 22명 사망·1명 실종·8명 부상일용직 이주노동자 많아 피해 더 커진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근길 폭우에 “지각 예정” 발 동동···대중교통·자가용 모두 대혼잡“전 이미 틀렸어요. 지각 예정입니다.” 18일 수도권에 폭우가 쏟아지면서 출·퇴근 시간대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특히 큰 비가 내린 아침 출근길에 지하철 1호선과 경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가 생존권 짓밟았다”…충남 구획어업 어민들 발 동동충남 지역 구획어업 낚시어선 어민들이 생존권 사수를 위해 나섰다. 법으로 금지한 구획어업선의 낚시 영업을 지자체가 임시 허용해 줬지만 정부가 이를 가로막은 데 따른 반발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세리 키즈 전세계 활약 亞 골프시장 더 커질 것'도미닉 월 R&A 아태 총괄이사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K골프기대주들도 계속 나와 놀라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남한, 분단 뒤 일제 때보다 더 가혹하게 사상 통제해'한국의 국가폭력의 기원을 설명하려고 성공회대 김동춘 교수는 지난 2000년 그의 역작 를 출간했다. 당시 나도 이 책을 밤새워 읽으며 가슴을 치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이후 그는 한국전쟁기 군·경에 의한 피학살자 진상규명이라는 금기를 건드리는 일을 시작했다. 지난 2005년엔 진실화해위원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