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독자권익보호위원회가 조선일보의 국민76% '한국도 독자 핵무장해야' 보도를 비판했습니다. 조선일보가 소개한 여론조사, 핵개발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조선일보는 큰따옴표를 쓰고 '핵무장'이라고 했습니다 조선일보 독자권익보호위원회 한국핵무장 핵무장
조선일보가 독자적 핵개발 찬반 의견을 물은 여론조사를 두고 ‘국민 대다수가 핵무장을 지지한다’고 보도한 것과 관련해 “여론조사를 일면적으로 해석한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조선일보 독자권익보호위원회는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할 때 설문조사 문항과 해석에 대해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큰따옴표를 사용해 ‘핵무장’이라는 답변이 나온 것처럼 소개했지만 실제 여론조사 질문은 “한반도 주변의 여러 상황을 고려했을 때, 귀하는 한국의 독자적 핵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다. 조선일보뿐 아니라 세계일보 , 매일경제 가 큰따옴표를 쓰고 ‘핵무장’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어 “설문에서 북핵에 대한 경각심을 높인 후 한반도 핵에 대한 생각을 묻는 것과, 외교적 마찰이나 핵전쟁에 대한 경각심을 준 후 자체 핵무장에 대한 생각을 묻는 것이 다를 것”이라며 “여론조사를 일면적으로 해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국민의 76%가 독자 핵무장에 동의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언론이 단순히 여론조사 결과만 중계하는 것이 아니라 여론조사 전체 맥락을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핵개발 여론을 핵무장이라고 한 조선일보 보도 꼬집은 조선 독자위“우리 국민의 4분의 3 이상이 ‘독자적 핵무장’을 지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핵개발’과 ‘핵무장’은 엄연히 다르다.”조선일보가 독자적 핵개발 찬반 의견을 물은 여론조사를 두고 ‘국민 대다수가 핵무장을 지지한다’고 보도한 것과 관련해 “여론조사를 일면적으로 해석한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조선일보 독자권익보호위원회는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할 때 설문조사 문항과 해석에 대해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조선일보 독자권익보호위는 13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1월31일자 6면 기사 를 도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선 '방탄용 대표직 결말' 한겨레 '정치적 탄압 수단'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해 ‘4895억 원 배임’(대장동 사건), ‘133억 원 제3자 뇌물’(성남FC 불법 후원금 사건) 등 5개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한겨레는 1면 톱기사에서 검찰이 제1야당 대표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한 게 헌정사 처음이라는 사실을 제목으로 뽑았다. 반면 조선일보는 “천문학적 개발이익 챙겨준 토착비리”라며 검찰이 판단하는 이 대표 혐의 내용을 제목에 올렸다. 윤석열 정부 첫 국방백서에서 ‘북한은 우리의 적’이라는 표현이 6년 만에 부활했다. 지난해 북한 무인기 도발 등 지속적인 남북 9.19 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Pick] 수상한 주문 목록…배달원 직감으로 생명 살렸다'소주와 번개탄을 배달해 달라고 한 손님이 있는데, 느낌이 이상해요.' 제주도의 한 배달 기사가 번개탄 가스 중독으로 숨질 뻔한 주민의 생명을 구한 사연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챗GPT’ 우려 속 개인정보 규제완화 ‘치트키’로 띄우는 보도기승전 ‘개인정보 규제완화’다. 언론이 ‘챗GPT’로 인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영향과 전망을 적극 분석하는 가운데 일부 기사는 4차산업혁명 구호가 부상했던 국면 때처럼 또다시 개인정보 규제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이미 산업계와 보수·경제 언론의 적극 요구 이후 개인정보 규제가 대폭 완화된 바 있다. 챗GPT 돌풍에 개인정보 규제완화 필요성 강조매일경제는 지난 3일 사설을 내고 “챗GPT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우선 개인정보에 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