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증가세를 두고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의 정책이 대출 증가세를 부추기고 있다는 ...
한국은행 전경. 연합뉴스 가계대출 증가세를 두고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의 정책이 대출 증가세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12일 한은이 공개한 ‘8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금통위원들은 지난 4월부터 가계대출이 다시 늘어나는 것에 대해 경계감을 드러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의사록을 보면 한 금통위원은 “현재 가계대출 증가에 정책금융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례보금자리론 한도 잔액과 신청분 중 미실행액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수개월 동안 정책금융이 가계대출 증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언급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한은 관련 부서도 “팬데믹 안정화 이후 디레버리징이 진행되고 있는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 등의 주요국과 달리 우리나라 매크로 레버리지는 증가를 지속하고 있는 상황이다”며 “부문별로 보면, 정부부문 부채의 증가세가 다소 확대된 가운데 가계, 기업 등 민간부문 부채가 성장과 금융안정을 저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누증되었다”라고 보고했다. 이에 대해 일부 금통위원들은 “우리나라가 주요국에 비해 통화정책 정상화를 이른 시기에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계 부문의 현금 및 예금 보유규모가 늘어나는 상황을 볼 때, 시장금리 수준이 정책 의도보다 긴축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의 감독·지도 등 금융정책과 금융기관 대출행태 간의 상호작용, 금융기관 내부 리스크 관리 관행, 경제주체들의 부채접근성에 대한 기대 등이 대출의 공급과 수요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금통위원들의 의견도 제시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은 “미 금리 상승, 단기적으론 국내 영향 크지 않아”한은 ‘한‧미 금리 동조화 현황 및 평가’ 보고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군함도 강제동원’ 숨기는 일본…유네스코 “관련국과 대화 제출하라”유감 표명 2년 만에 권고 결정문 채택 예정사도 광산 세계유산 등재에도 영향 줄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왕릉뷰 아파트’ 유네스코가 “우려” 공식 표명세계유산위, 조선왕릉 관련 결정문 초안 공개“유산 가치 뒷받침 할 풍수에 부정적 영향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재학생 32만, 재수생 16만’…수능 ‘n수생’ 28년 만에 최고치킬러문항 배제 방침 영향 분석…수학 선택과목은 ‘미적분’ 쏠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N수생의 ‘이과 침공’…킬러문항 없애자 경쟁 더 박 터진다는데시험난도 하락 예상에 재수생 증가 국어·수학 등 특정과목 쏠림 심해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기동대 3배 늘 때 지구대·파출소 인력은 5년째 제자리수사경찰도 1.3배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