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대, ‘헤드업 햅틱디스플레이’ 기술 세계 최초 개발

대한민국 뉴스 뉴스

한기대, ‘헤드업 햅틱디스플레이’ 기술 세계 최초 개발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4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0%
  • Publisher: 5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상연 교수 연구팀 (김상연 교수, 허용해 박사과정, 김태훈 박사과정)은 금오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최동수 교수와 함께 자동차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을 응시하지 않고 촉각 느낌으로만 가상버튼의 위치를 파악하여 조작할 수 있는 ‘헤드업 햅틱디스플레이 (Head-up Haptic Display)’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또한 개발한 헤드업 햅틱 디스플레이의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는 운전 환경을 개발,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때 버튼의 위치를 파악하고 실제 버튼을 누르는 듯한 물리적인 힘까지 생성해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했다. 시각과 청각정보를 많이 사용하면서 운전을 하는 반면에 촉각 정보는 운전상황을 파악하는데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면서 '본 연구팀은 자동차 운전자가 시각의 도움 없이 진동 촉각 신호를 이용해 가상 버튼의 위치를 파악하고, 딱딱하고 무른 정도를 달리 조정하는 햅틱기능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헤드업 햅틱 디스플레이'

최근 자동차 운전에 필요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차량의 속도, 연료 잔량, 길 안내 정보 등을 운전자 바로 앞의 유리창에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운전자는 여전히 네비게이션 기기, 오디오, 에어컨 등을 조작하는 경우가 많아 운전 중 시선을 분산시켜 안전 운행에 지장을 준다.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상연 교수 연구팀 은 금오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최동수 교수와 함께 자동차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을 응시하지 않고 촉각 느낌으로만 가상버튼의 위치를 파악하여 조작할 수 있는 ‘헤드업 햅틱디스플레이 ’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또한 개발한 헤드업 햅틱 디스플레이의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는 운전 환경을 개발,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때 버튼의 위치를 파악하고 실제 버튼을 누르는 듯한 물리적인 힘까지 생성해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했다.김상연 교수는 “최근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많이 활용되고 있고, 운전 중 시선은 전방에 집중을 해야 하며, 운전 중 발생하는 다양한 소리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시각과 청각정보를 많이 사용하면서 운전을 하는 반면에 촉각 정보는 운전상황을 파악하는데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면서 “본 연구팀은 자동차 운전자가 시각의 도움 없이 진동 촉각 신호를 이용해 가상 버튼의 위치를 파악하고, 딱딱하고 무른 정도를 달리 조정하는 햅틱기능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헤드업 햅틱 디스플레이' 개념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의 제 1저자인 허용해 박사과정은 “우리 팀이 개발한 헤드업 햅틱 디스플레이가 스마트 차량에 적용된다면 운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제안된 기기는 인간-로봇 상호작용 시스템,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기에 내장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동수 금오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도로에서 운전자의 눈을 떼지 않고 차량의 많은 기능을 안전하게 설정할 수 있게 해준다”면서 “현재 연구팀은 헤드업 햅틱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더욱 향상을 시키기 위해 차량에서 자극과 인간의 지각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심리물리학 연구를 진행 중” 이라고 밝혔다.서명수 기자 [email protected]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HD현대-포스코 공사장 스마트 무인화 기술 개발 협력HD현대-포스코 공사장 스마트 무인화 기술 개발 협력HD현대는 포스코홀딩스와 자원 개발 및 공사 현장의 무인화 기술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두 회사는 이번 협약에 따라 무인화 기술의 첫 단계로 원격 제어를 활용한 무인 건설장비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김완수 HD현대 부사장은 '스마트 건설 분야의 선구적 역할을 하고 있는 포스코그룹과 우리가 보유한 스마트 및 무인화 기술이 융합되면 자원 개발 및 공사 현장에 일대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D램 패러다임 바꿨다...삼성전자, LPCAMM 최초 개발D램 패러다임 바꿨다...삼성전자, LPCAMM 최초 개발삼성전자가 저전력더블데이터레이트(LPDDR) D램 기반 모듈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 삼성전자는 2021년 11월 극자외선(EUV) 공정을 적용한 14나노미터(㎚·1㎚=10억 분의 1m) 모바일용 D램 LPDDR5X를 업계 최초로 개발하는 등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잇따라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개발에 성공하면서 AI 반도체 시장에서 주도권을 선점한 엔비디아 등 시스템 반도체에 넘어간 패권이 다시 메모리 반도체로 넘어올 것이란 전망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흑인 남성, 안면인식 기술 오류로 도둑 누명…6일간 옥살이까지美 흑인 남성, 안면인식 기술 오류로 도둑 누명…6일간 옥살이까지안면인식 기술 오류로 인해 도둑으로 몰려 체포된 미국 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SK어스온 40년 결실 … 中서 원유 생산 성공SK어스온 40년 결실 … 中서 원유 생산 성공광구 탐사부터 개발·생산까지민간 석유 개발 역사 첫 사례탄소 저감 공법으로 원유 뽑고향후 탄소 저장 기술에도 활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방심위, ‘김만배 녹취록’ 인용 보도한 방송사 3곳 무더기 과징금방심위, ‘김만배 녹취록’ 인용 보도한 방송사 3곳 무더기 과징금사상 최초 무더기 최고 수위 법정제재감사원은 3주간 방심위 실지감사 착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웅태, 근대5종 2관왕 '쾌거'... 개인·단체전 금메달전웅태, 근대5종 2관왕 '쾌거'... 개인·단체전 금메달레이저 런서 짜릿한 역전 우승, 아시안게임 최초 '개인전 2연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3 01:3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