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국 수출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경제 활력을 이끌었습니다. 자동차 수출도 전기차 캐즘 속에서 선방하며 '수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습니다. 그러나 반도체, 자동차 시장의 불확실성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은 2025년 수출 성장에 대한 우려를 야기합니다.
지난해 내수·투자 부진에 연말 계엄 사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까지 겹치며 경기 침체 흐름이 우려되는 가운데 2024년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해 한국 경제를 추동한 '단발 엔진'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자동차 수출도 세계적인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전년 수준을 유지하면서 전체 수출의 10% 이상을 해내며 선방했다.다만, 수출 주력인 반도체 , 자동차 등의 글로벌 시장 업황 둔화 가능성과 강력한 보호주의 무역을 예고한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은 대응 과제로 꼽힌다.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4년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수출은 6천838억달러로, 전년보다 8.2% 증가하며 기존 역대 최대였던 2022년 6천836억달러를 넘어서 새 기록을 썼다.작년 수출에서 한국의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와 수출 효자로 꼽히는 자동차 등 2개 품목이 전체의 30%를 담당하며 맹활약했다. 반도체 수출은 전년보다 43.
9% 증가한 1천419억달러로, 2022년(1천292억달러) 이후 2년 만에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이는 작년 한국 전체 수출의 20.8%에 해당하는 규모다. 자동차 수출은 사상 최대였던 전년보다는 소폭(-0.1%) 감소했으나 708억달러(전체의 10.4%)로 2년 연속 700억달러 이상을 기록하며 '수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세계적인 전기차 캐즘 속에서도 글로벌 메이커들의 격전지인 미국 시장 등에서 선전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 밖에도 선박(256억달러·18%↑), 석유화학(480억달러·5%↑), 바이오헬스(151억달러·13.1%↑), 농수산식품(117억달러·7.6%↑), 화장품(102억달러·20.6%↑) 등 제품이 골고루 선전하며 수출을 이끌었다.최대 수출 대상국인 중국으로의 수출은 3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석유화학, 무선통신기기 등 수출 호조로 전년 대비 6.6% 증가한 1천330억달러를 기록했다.이 같은 수출 실적에 힘입어 한국은 지난해 518억달러의 무역 흑자를 거뒀다. 2018년 이후 6년 만에 최대 흑자 기록을 썼다. 조익노 산업부 무역정책국장은'역대 최대 수출실적 달성과 무역수지 흑자를 동시에 달성한 것은 어려운 대내외 여건에서 수출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외 신인도 유지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기대되는 부분'이라고 평가했다.국내 연구기관들은 대체로 올해 한국 수출 증가율을 2% 내외로 전망했다. 국책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은 작년 11월 발표한 '2025년 경제·산업 전망'에서 올해 한국 수출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보이며 작년보다 2.2% 증가한 7천2억달러로 사상 처음 7천억달러를 넘길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같은 달 경제 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총수출 증가율(물량)을 2.1%로 예상했다. 단, 이는 트럼프 2기의 관세 장벽이 올해 현실화하지 않는다는 기본 시나리오에 따른 것이라는 전제를 뒀다.올해 수출 역시 전통적 효자 품목인 반도체와 무선통신기기 등 정보기술(IT)이 이끌 것이라는 데 연구기관들의 의견은 일치했다. AI 산업 성장에 따라 올해도 AI PC(컴퓨터)·모바일, 온디바이스 AI 신제품 출시, 자율주행, 국방용 AI 개발 등 반도체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수출 효자' 자동차 역시 세계 경제의 저성장 기조 속에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이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한다. 현대차 등 국내 자동차 메이커들이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릴 계획이어서 지표상 수출 감소에 영향을 준다는 분석도 있다. 산업연구원은 13대 주력 산업 수출 전망에서 올해 반도체 수출이 작년보다 8.5% 증가하는 것을 비롯해 정보통신기기(8.4%), 철강(5.0%), 바이오헬스(4.9%), 조선(4.1%), 디스플레이(2.5%) 등의 증가를 전망했
수출 경제 성장 반도체 자동차 트럼프 관세 무역 흑자 한국 산업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일 수출 격차 역대 최저, 한국 수출 급성장올해 한국의 수출액은 역대 최저 수준인 202억 달러의 격차로 일본에 훨씬 추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내년 경제 전망은 불안하다는 경고음이 나오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내란, 31년 만에 돌아온 '정치적 밤' - 한국민주주의, 다시 위기?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한국을 몰아넣은 위기 상황과 그 31년 전 민주주의 탄생 과정을 통해 한국 사회의 위대한 진통과 미래에 대한 핵심 질문을 던진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일본 수출액 격차 역대 최저, 내년 수출 둔화 우려올해 한국과 일본의 대(對)세계 수출액 격차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지만, 내년 수출 증가세 지속 가능성은 낮다. 역기저 효과, 트럼프 2기 보호무역주의, 미중 갈등 등이 내년 한국 수출 전망을 어둡게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페퍼저축은행, 전반기 구단 역대 최다승 신기록 달성페퍼저축은행 AI페퍼스가 현대건설 힐스테이트에 승리하며 전반기 6승으로 구단 역대 최다승을 기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글로벌 시장 선점 위한 차별화 필요, 한국 아이스크림 수출액 역대 최대 증가삼정KPMG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이스크림 수출액은 93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K-빙과의 열풍과 함께 아이스크림 시장 경쟁 지형 변화가 일고 있다. 특히 미국과 중국 시장에서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빙과 기업들은 각 국가별 특성에 맞춘 차별화 전략을 통해 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건강과 환경에 대한 소비자 관심 증가에 따라 저칼로리, 저당, 비건 아이스크림 등 새로운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수출 61년 만에 세계 6위 무역강국으로 급부상, 내년 6970억달러 전망한국은 수출 1억달러를 달성한 지 61년 만에 세계 6위 무역강국으로 급부상했으며, 내년 수출은 6970억달러로 예상됩니다. 한국은 반도체, 자동차, 화장품 등이 수출 증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