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업계 최초로 한 층 전체를 문화예술공간으로 꾸미고, 곳곳을 ‘MZ 감성’으로 가득 채운 ‘더현대 대구’가 손님맞이에 나섰다. 판매 공간 줄이고 차별화된 콘텐트의 문화예술공간 확대 현대백화점 대구점이 1년간의 리뉴얼 공사를 마치고 ‘더현대 대구’로 새롭게 태어났다. 지하 2층 MZ 전문관 ‘크리에이티브 그라운드’ 등 새단장 더현대 대구는 지난 8월 새단장해 문을 연 지하 2층 MZ 전문관 ‘크리에이티브 그라운드’와 지하 1층 식품관 ‘테이스티 대구’에 ‘핫한’ 브랜드를 대거 입점시켜 MZ세대 고객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 문화예술광장,MZ 감성,문화예술공간 확대,문화예술공간,크리에이티브 그라운드,더현대 대구,현대백화점
1년간 리뉴얼 공사 마치고 새로운 모습으로 손님맞이 나선 ‘더현대 대구’ 1년간의 리뉴얼 공사를 마치고 문을 연 ‘더 현대 대구’는 차별화된 콘텐트와 세련된 공간 디자인으로 대구·경북을 대표하는 문화·쇼핑 랜드마크가 되겠다는 목표다. 사진은 9층에 자리한 문화예술광장 ‘더 포럼’의 내부 모습.
백화점 업계 최초로 한 층 전체를 문화예술공간으로 꾸미고, 곳곳을 ‘MZ 감성’으로 가득 채운 ‘더현대 대구’가 손님맞이에 나섰다. 차별화된 콘텐트와 세련된 공간 디자인으로 MZ세대가 찾는 대구·경북 대표 ‘문화·쇼핑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구상이다.현대백화점 대구점이 1년간의 리뉴얼 공사를 마치고 ‘더현대 대구’로 새롭게 태어났다. 더현대 대구가 MZ세대를 사로잡기 위해 가장 공들인 콘텐트는 문화·예술. 판매 공간을 줄인 대신 문화예술공간을 확대했다. 더현대 대구의 문화·예술 관련 시설의 면적은 총 5047㎡로, 리뉴얼 전보다 4배 이상 늘었다. 대신 ‘매장 면적’은 기존보다 15% 가까이 줄였다.
가장 눈길을 끄는 곳은 9층 전체에 들어서는 문화예술광장이다. 4565㎡ 규모의 ‘더 포럼 by 하이메아욘’은 세계적 아티스트 겸 산업디자이너 ‘하이메아욘’과 협업한 공간이다. 백화점 업계에서 한 층 전체를 문화예술공간으로 꾸민 건 이번이 처음이다.‘더 포럼’은 ▶하이메아욘이 직접 디자인한 ‘카페 워킹컵’ ▶다양한 공연과 강연이 열리는 실내광장 ‘콜로세움’ ▶최대 9m 높이의 대형 조각상 7개가 설치된 실외 조각공원 ‘게이츠 가든’ ▶하이메아욘이 디자인한 굿즈 판매와 더 포럼 작업 과정에 대한 전시가 열리는 ‘더 포럼샵’ ▶실내 온실형 고객 휴게공간 ‘그린하우스’로 구성됐다. 1층에 들어서는 ‘더 스퀘어’는 캐나다 소재의 세계적인 인테리어 디자인 그룹 ‘버디필렉’이 설계한 문화예술 큐레이션 공간이다. 여기엔 프랑스 설치 예술작가 ‘시릴 란셀린’의 17m 높이의 대형 설치 작품 ‘아치 워터폴’이 전시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레전드라는 '나는 솔로', 우리 자신을 본 건 아닐까[양민영의 한 솔로] 한 솔로가 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만에 설욕' 야구대표팀, 아시안게임 4연속 금메달[항저우 아시안게임] 7일 결승에서 대만 2-0으로 꺾고 금메달 수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터뷰] 군대를 감옥으로 만든 이들의 책임 묻겠다군 복무중 ‘국보법 위반’으로 구속된 김형보씨진화위, 불법구금·가혹행위 ‘진상규명’ 결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컴백 동시에 첫 월드투어...“평생 ‘아이브’로 기억되고파” - 매일경제itemprop=description content=서울서 시작 세계 27개 도시 투어 13일 미니앨범 ‘아이브마인’ 발매 “투어로 세계에 아이브 알리겠다 ...우린 여전히 보여 줄 것 많아” 10대 관객 압도적, MZ 워너비 입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이볼'에 푹 빠진 MZ…위스키 수입량, 1분기 8400t 역대최대24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스카치, 버번, 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78.2% 급증한 8443t에 달했다. 올해 1분기 위스키 수입액은 6477만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24.0% 늘어 수입량(78.2%)에 비해서는 증가 폭이 훨씬 작았다. 수입 위스키의 t당 가격은 지난해 1∼2분기에는 1만1000달러 수준이었다가 3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곧 3차 대유행 온다'...전년 대비 매출 201% 뛴 'MZ 저격템'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작년 말부터 CU, GS25, 세븐일레븐 등 대형 편의점 사이에선 '하이볼 열풍'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하이볼 열풍'은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CU가 지난해 11월 업계 최초로 RTD(ready to drink) 하이볼 ‘어프어프 하이볼’을 선보인 이후 GS25와 세븐일레븐도 본격 경쟁에 뛰어들면서 거세졌다. 이 회사는 일본, 미국 등에서 ‘짐빔 클래식 하이볼’과 ‘짐빔 진저 하이볼’ 등 2종의 RTD 하이볼 상품을 선보인 바 있다. - 편의점,전년,하이볼 매출,하이볼 열풍,하이볼 출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