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인기과 소멸 우려에 신중론서울대 400명→160명 축소고대도 300명서 감축할 듯정부지원금 아쉬운 지방대는무전공 신입생 대폭 늘려
무전공 신입생 대폭 늘려 서울대·고려대 등 일부 대학이 무전공 선발 인원을 당초 논의보다 축소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가 재정 지원을 내세워 대학들에 무전공 선발 확대를 독려하고 있지만, 학내 반발이 워낙 거세 일부 대학에선 제동이 걸리는 모양새다. 반면 정부 지원금이 절실한 대학들은 적극적으로 무전공 선발을 확대하고 있다.
정원을 학부대학에 양보해야 하는 기존 단과대들의 반발에 부딪혔기 때문이다. 수도권 대학은 수도권정비계획법 규제로 마음대로 정원을 늘릴 수 없어 새 학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존 학과 정원을 줄여야 한다. 특히 사회대, 경영대 등 정원 감축분이 큰 단과대에서 불만이 거셌다고 한다. 서울대는 인문대, 사회과학대, 자연과학대, 경영대, 공과대, 농업생명과학대, 생활과학대 등 관련 단과대와 세부 수치를 조율하고 있으며 조만간 학부대학 정원을 확정할 예정이다. 연세대도 관련 논의가 지지부진하다. 학생들이 다양한 전공을 부전공, 복수전공, 연계전공 등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율학기제'를 2학기에 시범 운영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 규모와 시기 등을 확정하지 못했다. 이들 대학은 무전공 확대 논의가 급하게 진행된 만큼 학내 반발을 무릅쓰고 무리하게 추진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올해 1월 들어서야 무전공 선발 확대 추진을 발표했다. 당장 올해부터 모집 인원 대비 일정 비율을 무전공으로 선발하면 대학당 수십억 원을 지원받을 수 있는 '대학혁신지원사업'에서 가산점을 주겠다는 것이었다. 당시 대학가에선 '대입 사전예고제'에 위배된다는 비판이 나왔다. 예측 가능성을 위해 입학연도 1년10개월 전까지 시행계획을 공표하도록 하는데 입시를 불과 몇 개월 앞두고 정원을 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중앙시평] 대학 ‘무전공 입학’ 제도가 성공하려면이처럼 무전공 입학제도 추진의 명분은 명확하다. 무전공 입학제도의 부작용으로 거론되는 기초학문분야의 피해 우려에 대한 대책 또한 세워야 한다. 이처럼 대학가에서 논란이 많은 무전공 입학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정원 확보만이 아니라 여러 세심한 준비가 요구된다는 점을 교육부와 대학 당국이 유념했으면 한다. - 중앙시평,무전공,대학,무전공 입학제,무전공 학생,대학 입학,무전공 입학,대학혁신 지원사업,국립대학 육성사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대 정원 이어 ‘무전공’ 선발 인원도 아리송, 2026학년 대입 시행계획 보니현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치를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에서 서울 시내 주요 대학의 무전공(자율전공선택제) 선발인원 규모가 올해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직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대 2조' LGD 광저우공장 매각 급물살산업부에 승인신청서 제출BOE 등 中기업과 협상 중OLED로 사업재편 속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기술전쟁 골든타임”...500억이상 기술개발, 예타 전면폐지 추진내달 국가재정전략회의 개최 배터리 등 첨단기술 선점 속도 사후검증 프로세스 대폭 강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범죄도시4’ 또 터졌다…오늘 200만 돌파올해 최단기간 흥행 속도...트리플 천만 이룰까 85~87% 좌석점유율...스크린 독과점 우려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장자 독점상속 막은 유류분, 이젠 가정불화 불씨로유류분 판단 변화 배경은대가족 형태 줄며 의미 잃어자녀 부양의무 저버린 부모에상속 제한하는 '구하라法' 속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