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밀 사태, 경영진 무책임·도덕성 논란…직원들 생계 막막(종합)
해고 50일전까지 통보 의무도 안 지켜…신준호 퇴직금 30억 챙겨가 신선미 기자=유제품 기업 푸르밀 직원들이 회사의 일방적인 사업 종료와 해고 통보에 반발하면서 집단행동을 예고하는 등 푸르밀 사태가 심각해지고 있다.직원들은 경영진의 무능으로 회사가 위기를 맞았으나 책임을 직원들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날을 세웠다.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푸르밀 노동조합은 최근 성명을 내고"신준호, 신동환 부자의 비인간적이고 몰상식한 행위에 분노를 느낀다"며"이에 강력한 투쟁과 생사의 기로에선 비장한 마음을 표출하려 한다"고 말했다.푸르밀은 당시 메일을 통해"4년 이상 적자가 누적돼 특단의 대책을 찾아 봤지만 현재까지 가시적인 성과가 없어 부득이하게 사업을 종료하게 됐다"며"불가피한 사정에 따라 정리해고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신 대표가 취임한 2018년 15억 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을 했고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영업손실액은 89억 원, 113억 원, 124억 원으로 점점 불어났다는 것이다.경영진이 회사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은 점도 문제로 꼽았다. 노조는 지난 44년간 쟁의나 파업을 하지 않았고 임금 삭감과 공장 인원 축소를 감내했지만 신준호 회장의 급여는 그대로였고 심지어 올해 초 퇴사하면서 자신의 퇴직금 30억 원까지 챙겨갔다는 것이다.근로기준법에 따르면 노조 등 근로자 대표에게 해고 50일 전까지는 이를 통보하고 합의해야 하지만, 푸르밀에선 이런 조치는 전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푸르밀의 갑작스러운 영업 종료 통보에 푸르밀에 원유를 공급해왔던 낙농가와 협력업체 직원 약 50명, 화물차 기사 약 100명도 피해를 보게 됐다.한편 푸르밀이 지난 17일 사업종료를 통보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나흘간 회사 홈페이지는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다.1978년 롯데그룹 산하 롯데유업으로 출발했다가 2007년 4월 그룹에서 분사했고 2009년 사명을 푸르밀로 바꿨다[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푸르밀, 폐업 아닌 사업 종료...'꼼수 해고' 의혹 확산경영진 '11월 30일까지 사업 종료·전 직원 정리해고' / 푸르밀 직원들, 거래처 걱정하며 근무 이어가 / 푸르밀과 계약한 유통업계·군부대, 대책 마련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대사 '전술핵 이야기 무책임…확장억제 의지 의심해선 안돼'(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효정 오수진 김지연 기자=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는 18일 '전술핵에 대한 이야기가 푸틴에게서 시작됐든 김정은에게서 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이든 '중간선거 승리하면 낙태법 최우선 입법'…이슈 재점화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미국 11월 중간선거를 목전에 두고 조 바이든 대통령이 낙태권 논란 재점화에 나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대사 '전술핵 이야기 무책임…확장억제 의지 의심해선 안돼'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효정 오수진 김지연 기자=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는 18일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에 대해 '전술핵에 대한 이야기가 푸틴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영진 낙마까지 부른 '카톡 먹통'…심기일전 계기 될까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배터리 1개 화재에 전체 서비스가 '셧다운' 된 초유의 장기간 카카오[035720] 먹통 사태는 결국 경영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