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고, 자극적이고, 뭐든 많이 쓰는 오늘날의 기사 생산구조는 포털에 적응한 결과다. 모두 포털 중심의 뉴스 유통 구조에 문제를 지적하지만, 중요한 건 뉴스 생산 방식을 바꿔낼 ‘균열’의 계기를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미디어 바우처’는 그 계기가 될 수 있다. 최근 발간한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서 (책임연구 김선호 언론재단 책임연구위원, 공동연구 김찬중 한남대 정치언론학과 조교수‧김위근 퍼블리시 최고연구책임자)는 ‘미디어 바우처를 통한 언론 후원 제도’의 근본 목적이 “언론사 재정난 해소가 아
빠르고, 자극적이고, 뭐든 많이 쓰는 오늘날의 기사 생산구조는 포털에 적응한 결과다. 모두 포털 중심의 뉴스 생태계 문제를 지적하지만, 중요한 건 생태계를 바꿔낼 ‘균열’의 계기를 만드는 것이다. ‘미디어 바우처’는 그 계기가 될 수 있다.
미디어 바우처는 뉴스 이용자가 일정 액수의 바우처를 지급받고 이를 언론에 배분하는 제도로, 2021년 5월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 참여를 통한 언론 영향력 평가제도의 운영에 관한 법률’을 대표 발의할 당시 ‘미디어바우처’ 개념을 도입했다. 김 의원은 “이 법이 통과되면 신문, 인터넷신문, 뉴스통신, 정기간행물 등 2500여억원의 정부광고비를 집행하기 위한 기준을 국민들이 정할 수 있다”고 했다. 제도 주체는 정부기관, 재원은 세금인 셈이다. 연구서는 “제도에 필요한 재원도 세금이나 공적인 성격의 기금으로 단정 지을 필요는 없다”며 “플랫폼 기업은 뉴스 매개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상당한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차원에서 그 수익의 일부를 저널리즘 시장실패 문제 해소를 위해 미디어 바우처 후원 제도의 재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종의 ‘저널리즘 진흥 기금’ 성격이다.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두고 연구진은 “플랫폼 기업이 뉴스를 매개하면서 얻은 수익금을 재원으로 삼아 직접 바우처 후원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이라고 풀이했다. 미디어 바우처 후원을 위해 연간 지급받고 싶은 금액은 1만 원 27.8%, 3만 원 22.4%, 5만 원 20.9% 순이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뉴스킹] 이준석, '서류 탈락' 강신업에 '슈퍼챗' 보내려 했던 사연대한민국 24시간 뉴스 방송채널, 실시간 속보 및 제보하기, 분야별 뉴스, 방송 프로그램 다시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야심 품은 이정효 감독…함께 큰 꿈 꾸는 '언더독' 광주FC | 연합뉴스(서귀포=연합뉴스) 이의진 기자=지난 8일 제주 서귀포 빠레브호텔 연회장에서 열린 K리그 미디어 캠프에 참석한 광주FC의 이정효 감독은 정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그럼에도 '변하지 않는 것들'이 있다뉴스페퍼민트 NewsPeppermint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