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에 폐교된 서울 강서구의 한 학교는 전교생 수가 157명이었고, 올해 같은 구의 다른 학교는 전교생이 1937명이다. 📬차형석 편집국장의 편지
〈시사IN〉에 실리는 요리사 박찬일씨의 글에 같이 들어갈 만한 이미지를 찾다가 근 40여 년 전 학교 난로 사진을 봤다. ‘조개탄’을 넣는 난로. 겨울에, 조개탄 꽤나 날랐다. 그 난로 위에 도시락을 쌓아 올려 데워서 점심시간에 먹었다. 그가 다니던 학교는 한 반에 90명 정도였다고 한다. 내가 다닌 ‘국민학교’는 한 반 60명이 안 되었던 것 같고, 중학교 때는 60명이 확실히 넘었다. 63번 친구와 놀았던 기억이 나니 말이다. 예전에 음식 칼럼 실을 때, ‘요리’ 사진을 찾는 데 애를 먹었다. 아무래도 먹음직스럽게 보여야 하니까. 사진기자들이 식당에 가서 음식을 주문해 촬영하기도 했다. 이번 연재에서는 그럴 일이 거의 없었다. 사실 ‘음식’ 칼럼인데, 떠오르는 음식 종류도 별로 없다. 대신 그가 찾았던 공간,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었던 사람들에 대한 느낌이 더 강하다.
아쉽지만 서로 약속한 대로 끝낸다. 필자에게 다음을 기약하는 문자를 보냈다. 글감이 차올라 뜸 들이는 시간이 지날 때쯤, 다시 〈시사IN〉 독자와 이어질 수 있기를. 그러고 보니 요즘 학교는 난방을 어떻게 하지? 중앙난방 시스템인가. 그나마 학교 교실에 들어가본 게 몇 년 전이다. 학교 문제를 잘 몰라서인가, 변진경 기자가 쓴 이번 호 커버스토리를 읽으면서도 ‘아, 이런가’ 싶었다. 서울의 어떤 초등학교가 폐교되었다는 뉴스를 그저 ‘해외 토픽’처럼 얼핏 보았는데, 거기만 그런 게 아니었다. 게다가 한 지자체 안에서도 어떤 학교는 없어지고, 어떤 학교는 교실이 미어터질 정도라니. 2020년에 폐교된 서울 강서구의 한 학교는 전교생 수가 157명이었고, 올해 같은 구의 다른 학교는 전교생이 1937명이다. 저출생이 낳은 불균형이다. 이번 호에 실리는 이동관 특보 아들의 학폭 사건 관련 기사, ‘방송 장악’ 관련 기사를 읽다가도 ‘폐교 옆 콩나물시루’에 자꾸 눈이 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민주당 “8차례 고장난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설비···여전히 국민의 불안은 괴담인가”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 시설인 다핵종제거설비(ALPS)에 그간 총 8차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자 민주당이 17일 정부·여당을 향해 “여전히 국민의 불안은 괴담인가”라고 비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네 빵집을 통해 '사회적경제'를 배우다동네 빵집을 통해 '사회적경제'를 배우다 사회적경제 관계 신뢰마케팅 동네빵집 사회적자본 김성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월 모의평가, ‘쉬운 수능’ 파장에 올해 수능 유일 지표 되나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5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관해 언급한 뒤 오는 9월 진행될 모의평가에 이목이 쏠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편지 썼다더니…권도형, 몬테네그로 '정치자금' 의혹 전면 부인 | 연합뉴스(로마=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가상화폐 '테라·루나' 폭락 사태의 핵심 인물 권도형(32) 테라폼랩스 대표가 몬테네그로 총선 판을 뒤흔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공안, 축구대표 손준호 구속수사 전환…사법처리 수순'(종합) | 연합뉴스(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중국 공안이 형사 구류(임시 구속) 기한이 만료된 축구 국가대표 손준호(산둥 타이산)에 대해 구속(체포) 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