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보름 넘어가는데…노정 갈등 해법, 정말 없나? SBS뉴스
[제희원 기자 : 파업에 처음 참여한 탱크로리 기사를 만났는데요. 어제만 해도 장시간 노동 해결과 안전을 위해서는 안전운임제가 꼭 필요하니까 파업현장을 지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오늘 업무개시명령 확대 이후에는 "동력이 떨어졌다"면서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라고 한숨을 쉬었습니다. 화물연대의 이번 파업은 비조합원들의 참여가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정부의 압박으로 상당수가 현장에 이미 복귀해서 물량 봉쇄 효과도 떨어지고 있다고 노조도 판단하고 있습니다.][제희원 기자 : 파업 전 당정은 화물연대에 안전운임제 3년 연장을 제시했었습니다. 하지만, 파업 시작 이후 정부는 안전운임제 폐지까지 언급했고 이제는 조건 없는 복귀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산업계 피해가 계속 커지면서 물류 정상화를 하루빨리 시켜야 한다는 가장 큰 이유이고, 법과 원칙을 강조하는 대통령실의 의지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노조의 관행적인 파업을 끊겠다, 정권 초인 지금 노조에 끌려가지 않고 바로 잡는 계기를 만들겠다는 겁니다.][제희원 기자 : 화물연대는 최소한 대화가 있어야 노조도 출구 전략을 고민할 수 있을 거라는 입장입니다. 무엇보다 중재와 조율을 해야 할 국토부가 일선에서 노조를 범죄자 취급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일단 화물연대는 법원에 업무개시명령을 취소해 달라는 행정소송을 제기했고 국제노동기구와 UN에 개입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강경대응에 화물연대의 선택지는 끝까지 버티거나 백기 드는 것밖에 남지 않는 상황이어서 양측이 계속 강경 일변으로 대치하면 장기화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입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정부, 8일 임시 국무회의서 철강·석유화학 업무개시명령 논의정부가 8일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파업 중인 철강, 석유화학 운송 분야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전망입니다. 안전운임제가 도대체 뭐길래 화물연대가 파업에 나선 것일까요? 화물연대 안전운임제 🔽 담당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파업 15일째 석유화학제품 피해↑...업무개시명령 발동 계획화물연대 파업 보름째…아직은 제품 생산 / 화물 연대 파업 이후 석유화학제품 출하 차질 / 석유화학업체 제품 보관소도 곧 포화 / 제품 감산하거나 공장 자동 중단 위기까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광양항 컨테이너 반출입량 100% 회복…물류 정상화 | 연합뉴스(광양=연합뉴스) 장덕종 기자=화물연대 파업 이후 0%에 가까웠던 전남 광양항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7일 오전 파업 전 평시 수준을 회복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조가 조폭이라고? 윤석열 정부가 좋아하는 ‘법과 원칙’ 제대로 세우려면정부의 유체이탈 화법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노총 “대통령이 직접 교섭 나서라, 화물연대 파업 해소 위한 유일한 길”“노동자들 협박해서 강제로 노동시키고 물동량 늘었다고 좋아하는 정부, 그게 할 짓인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