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정지웅 앵커■ 출연 : 정철진 경제 평론가*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그렇죠. 상당하죠. 왜 우리한테 직접 안 매겼잖아. 우선 그건 유럽연합, 그다음 우리에 대한 부분은 차치하고서라도 지금 미국을 보면 과거에 나프타협정이라고 해서 미국, 캐나다, 멕시코는 무관세였습니다. 이걸 트럼프 가 나프타를 고치면서 USMCA라는 미국, 멕시코, 캐나다라는 새로운 형태의 다자간 FTA를 만들었거든요. 그래서 캐나다, 멕시코, 미국. 많이 바뀌었어도 관세 장벽이 없었습니다. 그러니까 미국으로 바로 들어가지 않는 그런 기업들은 멕시코라든가 캐나다를 들어가서 무관세로 들어가는 이런 형태가 많이 있었고요.
우리 한국 기업도 가전과 특히 자동차 같은 부분에서는 캐나다, 멕시코에 거점들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지금 보시면 자동차 같은 경우가 멕시코가 굉장히 많은데 일단 기아차가 누에보레온이라는 곳이 있고 가전도 멕시코 같은 경우에 삼성전자의 티후아나는 굉장히 오래된 곳이었거든요. 거기에서는 정말 역사적으로 깊은 곳이고 LG 역시도 멕시코에서 굉장히 많이 오랜 전통으로 했었던 그런 곳이었기 때문에 몬테레이죠. 이것이 관세 없이 들어가다가 이제 멕시코에서 만드는 가전제품에 관세가 매겨지게 되고요. 멕시코나 캐나다에서 매겨지는 자동차에 관세가 붙게 되고. 그래서 오늘 주식시장에서도 기아차 같은 경우가 현대차 대비 주가가 더 많이 빠져 있고요.
이차전지도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게 캐나다 같은 경우에도 우리가 트럼프 집권 전에 캐나다도 미국의 무관세이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바이든 정부 때를 생각을 하면 가령 포스코퓨처엠이라든지 LG에너지솔루션도 캐나다에 거점을 두고 공장을 만들고 들어가려고 하고 있다가 지금 캐나다에도 25%라는 관세 폭탄을 맞게 되니까 오늘도 보면 이차전지 관련주들이 안 그래도 전기차 규제 때문에 힘들어지는데 포스크퓨처엠, LG엔솔 같은 경우가 캐나다에서도 안 돼? 그러면 문제가 커지는 거 아니겠습니까? 이래저래 국내 기업이 1차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다만 오늘 또 기아차 이야기를 들어보면 나름대로의 방법이 있다. 멕시코 공장에서 만든 부분들을 전용하겠다, 이런 해법들도 나오고 있고. 아직까지는 조금 더 해당 기업들도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그런 상황인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관세’ 대응 나선 현대차…美 생산 확대 등 공급망 조절멕시코 생산량 일부를 미국으로 이전하고, 미국 현지 증산에 나서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 조치에 따라 완성차를 멕시코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아차와 멕시코에서 생산된 부품을 미국 완성차 업체에 판매하는 현대차그룹 주요계열사는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항구 전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미국 현지 생산으로 대체되기 전까지는 가격 인상 압박이 커 단기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며 '미국 현지 생산량이 늘어나면 국내 수출량은 줄게 돼 국내 일자리가 축소되는 결과가 빚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잘나가던 자동차株…환율 급등, 전기차 캐즘, 트럼프 2기에 긴장현대차·기아 1달간 5%·8% 상승 코스피 상승률 0.85% 모두 상회 환율·캐즘·관세 등 리스크 남아있어 4분기 영업이익 눈높이도 하향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관세’ 앞둔 현대차, 공급망 조정·GM 제휴로 대응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관세를 각각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당장 4일부터 이 조치가 시행된다. 완성차를 멕시코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아와 멕시코에서 생산된 부품을 미국 완성차 업체에 판매하는 현대차그룹 주요계열사는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미국 수출물량 일부를 미국 현지 공장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韓가전·배터리 생산기지 캐나다·멕시코에 고관세…전략 수정 불가피(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기업들이 생산 거점을 확대해온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 부과를 강행하면서 관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한국 반도체·철강에 관세 경고… 미국 생산 확대 재차 압박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 반도체·철강 등 한국 주력 수출품에 관세 부과 경고하며 미국 생산 확대 재차 압박. 미국으로 생산 공장 이전 속도 가속화에 따른 한국 내 산업 공동화 우려 증대. 트럼프, 한국 세탁기 관세 사례 언급하며 관세 필요성 강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韓기업도 트럼프 관세에 비상…멕시코 공장 옮기고 車는 유럽으로기아, 멕시코 공장 생산 물량 미국 아닌 캐나다 수출 검토 가전은 미국으로 라인 이전 부품업체들도 상황 예의 주시 한국産에도 관세 부과 가능성 정부, 미 제품 수입 확대 등 트럼프 만족시킬 카드 만지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