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전면 관세 시행을 한 달 연기하면서 국내 완성차 업계는 일시적인 안정을 얻었지만, 장기적인 관세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다. 기아와 현대차그룹은 멕시코에서 생산하는 차량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중단하고 미국 현지 생산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국내 완성차 업계에서는 기아와 현대차 그룹 부품 계열사 현대모비스와 현대트랜시스가 멕시코 에서 생산 공장을 가동 중이다. 기아는 지난해 멕시코 몬테레이 공장에서 생산한 준중형 세단 K4 12만대를 미국으로 수출했다. 기아 K4의 미국 판매가는 약 4000만원인데 여기에 25%의 관세가 적용되면 가격이 약 1000만원 상승하게 돼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컸다. 현대차 그룹은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미국 현지 공장 생산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대차 ·기아의 2023년 미국 생산량은 61만 대다. 기아 멕시코 공장 생산량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규모다. 현대차 그룹은 지난해 10월 시범 가동을 시작한 조지아주 신공장 ' 현대차 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를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연간 30만대 규모인 HMGMA는 최대 50만 대까지 생산을 확대할 수 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현지 생산 규모를 조기에 늘리면 멕시코 관세에 따른 피해를 조기에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국내 일자리 확대라는 트럼프 행정부 요구를 충족하게 된다”며 “향후 한국산 차량에 대한 추가관세 우려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현지 생산 강화 뿐 아니라 공급망 재편도 염두해두고 있다. 관세 부가가 현실화 될 경우 멕시코에서 만든 차량을 캐나다, 남미, 유럽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성국 기아 기업설명 담당 전무는 지난달 24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멕시코에 수출 제재가 가해진다면 캐나다로 더 선적하든지 목적지를 바꿔야 할 것”이라며 “공급망관리를 효율적으로 바꿔 부담을 낮추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韓기업도 트럼프 관세에 비상…멕시코 공장 옮기고 車는 유럽으로기아, 멕시코 공장 생산 물량 미국 아닌 캐나다 수출 검토 가전은 미국으로 라인 이전 부품업체들도 상황 예의 주시 한국産에도 관세 부과 가능성 정부, 미 제품 수입 확대 등 트럼프 만족시킬 카드 만지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멕시코·캐나다 25% 관세 한 달 유예…“국경 보안 합의”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 하루 전인 3일(현지시간) 이를 한 달 간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관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충격과 공포’ 트럼프식 전략 통했나···혼란한 ‘관세 전쟁’ 전망은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 시행을 한 달 유예하기로 전격 발표하면서, 관세 위협이 사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관세’ 대응 나선 현대차…美 생산 확대 등 공급망 조절멕시코 생산량 일부를 미국으로 이전하고, 미국 현지 증산에 나서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 조치에 따라 완성차를 멕시코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아차와 멕시코에서 생산된 부품을 미국 완성차 업체에 판매하는 현대차그룹 주요계열사는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항구 전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미국 현지 생산으로 대체되기 전까지는 가격 인상 압박이 커 단기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며 '미국 현지 생산량이 늘어나면 국내 수출량은 줄게 돼 국내 일자리가 축소되는 결과가 빚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韓가전·배터리 생산기지 캐나다·멕시코에 고관세…전략 수정 불가피(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기업들이 생산 거점을 확대해온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 부과를 강행하면서 관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내달 1일부터 중국에 10% 관세 부과할 듯... 틱톡 '밀당' 본격화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이튿날인 21일(현지시간) 중국에 대한 10% 관세 부과를 논의 중이라며 시행 시기를 '다음 달 1일'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