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중국 쇼핑 플랫폼 테무가 우리나라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시장에 직접 진출하기로 결정했다.
성혜미 기자=중국 쇼핑 플랫폼 테무가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시장에 직접 진출하기로 결정했다.테무는 중국산 제품을 해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직구 방식으로 판매하던 기존 사업 모델에 더해 한국 상품을 직접 유통하는 '로컬 투 로컬' 사업에 나서기로 결정했다고 18일 밝혔다.테무는"한국 판매자를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 초대하기로 했다"며"이 조치로 테무는 한국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지역 상품을 제공하고 한국 판매자들에게 수백만 명의 고객과 만날 수 있는 새로운 판로를 열었다"고 설명했다.입점을 원하는 판매자는 구글에서 '테무 셀러 센터'로 검색해 한국 테무 판매자 센터 페이지를 방문해 등록할 수 있다.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 2023년 10월부터 한국 상품 전문관 케이베뉴를 론칭하고 작년 12월까지 입점 수수료 면제를 앞세워 한국인 판매자를 모집해 오픈마켓 방식으로 운영해왔다.
테무는 직구 판매 방식을 유지해오면서도 작년 말부터 인사, 총무, 홍보·마케팅, 물류 등 핵심 직군의 한국인 직원 채용 절차를 진행해 직진출 시기를 저울질해온 것으로 보인다.테무는 한국 사업을 위한 구체적 절차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테무는 지난 2018년 미국 나스닥시장에 상장한 PDD홀딩스의 자회사다. PDD홀딩스는 중국 최대 규모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를 소유하고 있다.현재 북미, 유럽,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를 포함한 전 세계 90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테무는 작년 2월 한국 법인 '웨일코코리아 유한책임회사'를 설립했으나 별도의 사무실을 운영하지는 않고 있다.테무는 본래 중국산 상품을 해외 직구 방식으로 판매해 '초저가'를 유지하는 사업에 집중했으나 L2L 사업을 점차 확대하는 추세다.
현재 L2L 사업은 미국과 일본, 멕시코,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벨기에, 오스트리아, 폴란드, 체코, 헝가리, 루마니아, 스웨덴 등에서 운영되고 있다.알리익스프레스에 이어 테무가 직진출을 결정하면서 한국 이커머스 시장 내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이커머스 시장은 지난해 티몬·위메프의 미정산 사태 이후 쿠팡과 네이버가 양강 구도를 형성한 가운데 다숭 업체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네이버를 제외한 종합몰앱 순위로는 쿠팡,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11번가, G마켓 순이다.이커머스 업계는 미·중 관세 전쟁으로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중국계 3대 플랫폼의 한국 시장 공세가 격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 C커머스 업체는 관세 부과 이후 직간접적으로 미국 판로가 제한되면 대체시장 중 하나인 한국시장에 대한 공략 수위를 높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에어부산 기내 선반서 연기 시작, 아수라장”...승객이 직접 비상문 열고 슬라이드 펴기도김해공항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꼬리 부분서 발생해 동체로 번져 탑승객 176명 비상탈출·3명 경상 안내방송 없이 승무원 우왕좌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살유족, 사회적 인식 개선과 지원을 위한 단체 출범국내 처음으로 자살유족이 직접 주체가 되어 사회적 인식 개선 활동과 관련 법 개정 등에 나서게 된 '한국자살유족협회'가 창립총회를 열고 출범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주택자에 마지막 기회래요”…서울 무순위 줍줍 풀리는 곳, 어디‘창경궁 롯데캐슬’ 45가구 모집 국토부 제도개편 앞둬 관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하고 싶은 경단녀들 여기로 오세요”…한 만큼 챙겨주는 이 직업전속설계사 18만명 넘어 안정성·성과 보장에 인기 경력단절자도 진출 가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디펜딩 챔피언 야닉 시너, 호주 오픈 8강 진출자기 서브 16강에서 홀거 루네를 꺾고 2년 연속 우승을 위한 8강 진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옆집도 미리 들었다는데”…상조 가입자 천만명 시대, 관련법 꼭 필요한 이유차용섭 상조산업협회장 인터뷰 코웨이·웅진 진출, 시장 커져 관할 부처 산업부로 바꾸는 상조산업법 제정 적극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