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위는 '5월 20일 광주역 발포, 5월 21일 도청 앞 발포에 따른 사상자가 다수 발생했음에도 계엄군 현장 지휘관은 물론 계엄사령부도 발포 현장을 엄격히 통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518민주화운동 계엄군 광주 전두환 보안사 공수부대 오월정신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사무실에서 사실상 마지막 '대국민 보고회'를 열고 5.18 당시 계엄군이 시민을 향해 최소 20곳 이상에서 50여 차례에 걸쳐 발포했다고 밝혔다.이는 광주·전남 지역의 계엄군 진압 작전을 재구성하고 총상에 의한 사망자와 부상자를 지도상에 표기해 분석한 결과로, 시민을 향한 계엄군의 구체적인 총격 횟수가 권위 있는 조사를 거쳐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위에 따르면 계엄군의 첫 발포는 1980년 5월 19일 오후 4시 50분쯤 광주고등학교 앞에서 시작됐다. 20일 오후 11시쯤 광주역 인근에서 발포가 이어졌고, 21일에는 11공수여단과 7공수여단이 배치된 전남도청 일원뿐만 아니라 3공수여단이 배치된 전남대 일원에서도 총격이 일어났다.총격 등 계염군의 폭력적인 진압에 따른 사망자는 166명이었다. 이 가운데 14세 이하가 8명, 장애인과 60세 이상은 5명이었다. 진료기록과 보상심의서류로 분석이 가능한 상해 피해는 2617명으로 조사됐다.우발적인 총격이 아닌 의도적인 발포였다는 점도 재확인됐다. 조사위는"5월 21일 오후 1시쯤 시위대의 화염병 투척 및 장갑차 돌진 후 이뤄진 계엄군의 집단 발포 이전에 이미 일부 병력에 실탄이 분배되었다는 사실을 현장에 있던 계엄군의 진술과 현장 사진 등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5·18 진상규명위 “계엄군, 최소 50여회 발포…총상 사망자 135명”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시민을 향해 최소 20곳 이상에서 50여 차례에 걸쳐 발포한 사실이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진상규명위) 조사 결과 드러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곳 이상서 50회 넘게 '발포''‥5·18 진상규명조사위 마지막 보고회5·18 민주화 운동 당시, 최소 스무 곳에서, 50회 이상, 계엄군이 시민들을 향해 발포를 했다고 5.18 진상조사 위원회가 밝혔습니다. 조사위는 당시 지휘계통의 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계엄군, 5·18 때 20여곳에서 50회이상 시민 상대 발포'(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시민을 향해 최소 20곳 이상에서 50여 차례에 걸쳐 발포한 사실이 5·18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계엄군, 5·18 때 20여곳에서 50회이상 시민 상대 발포'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시민을 향해 최소 20곳 이상에서 50여 차례에 걸쳐 발포한 사실이 5·18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18 진상규명' 한목소리, 영화 '송암동' 첫 특별상영회'5.18 진상규명' 한목소리, 영화 '송암동' 첫 특별상영회 5.18 민주화운동 송암동 소중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