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남동 티하우스 산수화. 정혜주 대표가 매주 토요일 오전마다 열고 있는 티 클래스다. 차의 역사와 종류, 시음법, 다구 사용법 등 차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공부하며 차를 우리고 마시는 법을 실습할 수 있는 자리다.
“중국의 차 문화는 시대별로 다른데 송나라 때는 말차가 유행했어요. 이때의 차 문화가 일본으로 건너갔기 때문에 일본은 지금도 주로 말차를 즐기고 있지요.”
소규모로 운영되는 7주간의 ‘티 클래스’는 개설되자마자 일찌감치 마감된다. 수강생 중 다수는 20~30대 여성. 3층짜리 공간 곳곳엔 다구와 차가 진열되어 있다. 정 대표가 국내 차 산지와 중국, 일본, 대만 등 현지를 다니며 골라온 것들이다. 녹차, 백차, 청차 등 차의 종류별로 구성된 두툼한 메뉴판에는 유기농 한국 자닮황차, 유기농 한국 하동 자닮녹차, 밀향오룡, 정총철관음 등 낯선 명칭이 한가득이다.2014년 산수화를 열었던 정 대표는 “초창기에는 들어왔다가 커피가 없다고 나가는 분들도 있을 정도였다”며 “그런데 최근 2, 3년 전부터는 바리스타나 바텐더 등 트렌드를 주도하면서 음료 맛에 민감한 젊은 전문가들이 찾아오기 시작하더니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힙한’ 감성보다는 정통에 충실한 스타일의 찻집인데도 고객의 상당수는 20~30대가 차지하고 있다.
차가 젊어지고 있다. 시내 곳곳에는 요즘 ‘핫플’이라는 차 전문점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곳을 찾는 상당수는 젊은층이다. 인스타그램에서는 다구나 다과가 차려진 찻상을 감각적으로 찍은 사진도 꽤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차는 그동안 고리타분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음료였다. 커피나 달콤한 맛이 나는 다른 음료만큼 익숙하지 않은 데다 차를 마시는 데 사용하는 도구나 사용법도 복잡하다. 종류도 워낙 많고 격식과 예법도 필요해 젊은이들에게는 다가가기 쉽지 않은 음료였다. 한 집 건너 한 집이 커피 전문점일 만큼 커피가 음료시장 전반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이다보니, 차가 뿌리내릴 틈이 충분치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분위기가 달라졌다. 정통 방식을 유지하면서 세련미를 더해 호기심과 지적 욕구를 자극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현대적 스타일과 실험적 문화를 혼합해 감각적으로 호소하는 곳들도 있다.서울 북촌에 있는 ‘오설록’은 차를 기반으로 한 신개념 음료 문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제주의 차밭에서 생산한 여러 종류의 녹차를 비롯해 찻잎을 허브나 꽃잎과 섞은 ‘블렌딩티’, 차를 기반으로 한 논알코올 ‘티 칵테일’까지 다양하게 맛볼 수 있다. 1층 매장에서는 차 제품을 확인하고 향을 맡아보며 고를 수 있는 ‘티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격적으로 차를 마시기 전 이곳에서 향과 맛을 골라보는 고객도 많다. 3층에 마련된 ‘바 설록’에서는 차 칵테일을 내놓는다. 북촌 슬링, 한라티니 등이 인기 메뉴다. 일일 ‘티 클래스’에서는 원하는 차를 직접 만들어 맛볼 수 있다. 주 3일, 하루에 2회씩 열리는 이 수업에는 외국인도 많이 참여한다. 찻잎과 장미꽃잎, 히비스커스, 레몬그라스 등 여러 가지 재료를 조합해 각 차의 맛과 향을 비교하며 즐길 수 있다.차와 함께 맛볼 수 있는 디저트 세트 메뉴도 있다. 떡과 4가지 디핑 소스를 곁들인 ‘북촌의 색동’, 기와 모양의 와플과 아이스크림을 함께 먹을 수 있는 ‘북촌의 기와’가 대표 메뉴다.
정영경 한국소믈리에협회 사무국장은 “매년 개최되는 티소믈리에 대회에도 대학생들이 많이 도전하고 있다”면서 “상대적으로 고루하다고 생각했던 차 문화가 젊은층에게 익숙해지며 트렌디한 문화로 바뀌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커피값은 각자... 시인 이상의 선각자적 계산법커피값은 각자... 시인 이상의 선각자적 계산법 커피히스토리 낙랑파라 제비다방 이상 더치페이 이길상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스키 다음은 막걸리’...전통주에 빠진 MZ세대'위스키 오픈런'을 마다하지 않던 2030세대가 전통주에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평생 새 관찰해 온 최종수 생태사진작가, 방송 탄다평생 새 관찰해 온 최종수 생태사진작가, 방송 탄다 최종수_생태사진작가 KBS 자연의_철학자들 주남저수지 윤성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