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값 부담으로 연초부터 가격 인상에 나선 자영업자가 늘어난 상황에서 결국 외식물가 상승은 소비자 고통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식재료 원가지수는 소폭 하향…“코로나 이은 두 번째 위기” 코로나19 대유행이 한창이던 2020년 12월23일 낮 한산하기만 한 서울 마포구 한 식당거리 모습. 강창광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서울 영등포구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최아무개씨는 요즘 장사가 안돼 죽을 맛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하락세를 보이던 매출이 회식 등이 잦은 연초가 됐는데도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서다. 최씨는 “3월에 매장 임대 계약 기간이 만료돼 건물주가 임대료를 올려달라고 요구한 상태인데, 이런 상태면 가게를 접어야 하나 고민이 될 정도”라며 “물가상승 기사로 온 나라가 떠들썩 하지만, 자영업자들은 무조건 가격만 올린다고 매출이 나아지는 게 아니기 때문에 올해가 더 걱정”이라고 말했다. 최씨는 이어 “최근 맥주 등의 주세가 오른다는 소식에 손님이 더 떨어져 나갈까 한숨이 나온다”며 “코로나19 대유행 사태가 끝나나 했더니 고물가와 경기침체가 발목을 잡고 있다”고 호소했다.
84에 이어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2분기에는 85.56으로 급등했다. 지난해 3분기에도 89.84로 소폭 상승한 바 있다. 4분기 하락 폭은 코로나19 대유행 발생 초기인 2020년 1분기 이후 11개 분기 만에 가장 컸다. 이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최근 3개월간 외식업계의 매출 및 경기 체감 현황을 조사해 지수화한 것으로, 수치가 100을 넘으면 경기가 호전됐다고 느끼는 업체가 더 많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4~28일 외식업체 3천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공사 쪽은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고, 이로 인한 금리 인상 및 경기둔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소비심리가 위축된 것이 지수 하락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업종별로 보면, 치킨전문점업이 75.63으로 가장 낮았고, 중국음식점업, 김밥 및 기타 간이 음식점업,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음식점업, 한식 음식점업 등이 평균치를 밑돌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몇십 년을 버텼지만‥' 계속 문 닫는 섬 초등학교인구절벽의 파도가 가장 먼저 도착하는 곳은 농어촌, 특히 섬마을의 학교들입니다. 80년 가까이 버텨왔지만, 더이상 학생이 없어 올해 한 명의 졸업생을 마지막으로, 이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 닫는 소아청소년과, 진짜 위기는 이제부터다''문 닫는 소아청소년과, 진짜 위기는 이제부터다' 양정헌 소아청소년과 PD수첩 이영광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류상 ‘눈감지 못한’ 무연고 사망자 302명, 왜 생겼나사망신고 안 된 ‘무연고 사망자들’“사망진단서에 30만원 들어서”예산 드밀며 신고 안 한 지자체들서울 영등포·강남, 미신고 1·2위공무원이 관련법 모르는 경우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시간만에 끊겨' KT의 통일TV 송출 중단은 시대착오적'2시간만에 끊겨' KT의 통일TV 송출 중단은 시대착오적 통일_TV 정상화 송출_중단 박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