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 중 NASA 위성, 낙하 범위에 한반도 인근 포함…“선체 연소돼 피해 가능성은 매우 낮아”

대한민국 뉴스 뉴스

추락 중 NASA 위성, 낙하 범위에 한반도 인근 포함…“선체 연소돼 피해 가능성은 매우 낮아”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2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1%

오는 9일 추락할 것으로 보이는 미국의 지구관측위성이 낙하할 지역 범위에 한반도 인근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크게보기 1984년 발사돼 2005년부터 작동이 정지된 지구복사수지위성이 지구 궤도를 돌고 있다. 오존층이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을 규명한 ERBS는 9일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하며 발사 39년 만에 추락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항공우주국 제공

하지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구 대기권으로 재진입하는 과정에서 인공위성의 선체 대부분이 불에 탈 것으로 보여 지상에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추락 중인 위성은 미국이 1984년 10월5일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에 실어 지구 궤도에 올려 보낸 ‘지구복사수지위성’이다. ERBS는 중량이 2.45t인 대형 위성이다. 하지만 과기정통부는 “대기권 진입 이후 마찰열에 의해 대부분의 선체가 연소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ERBS는 지구가 흡수하거나 우주 공간으로 반사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을 측정했고, 특히 성층권 내 오존층이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는 데 활용됐다. ERBS의 관측으로 1987년 프레온가스를 규제하는 ‘몬트리올 의정서’가 체결되는 성과가 만들어졌다.

ERBS의 관측 임무는 21년간 이어지다 2005년에 종료됐다. 그 뒤에는 관성에 따라 지구 궤도를 공전했고, 결국 중력과 대기 저항 등으로 인해 발사 39년 만에 지상으로 추락하게 됐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 우크라 4조 원대 추가 지원 '전쟁의 중대한 시점'미, 우크라 4조 원대 추가 지원 '전쟁의 중대한 시점'미, 우크라 4조 원대 추가 지원 '전쟁의 중대한 시점' 우크라이나 러시아 미국 윤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나 몬테스: 미국, 20년 만에 일급 스파이 석방 - BBC News 코리아아나 몬테스: 미국, 20년 만에 일급 스파이 석방 - BBC News 코리아아나 몬테스: 미국, 20년 만에 일급 스파이 석방 아나 몬테스는 미국 정보 당국이 체포한 '가장 유해한 스파이'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5 11: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