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말 북한 무인기가 수도권 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 “북한이 다시 우리 영토를 침범하는 도발을 일으키면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를 검토하라”고 4일 국가안보실에 지시했습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북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책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업무보고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말 북한 무인기가 수도권 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해 “북한이 다시 우리 영토를 침범하는 도발을 일으키면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를 검토하라”고 4일 국가안보실에 지시했다. 윤 대통령이 직접 ‘9·19 합의 효력정지’를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남북의 우발적 군사 충돌 등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완충장치 역할을 해온 9·19 군사합의가 체결 4년3개월여 만에 존폐의 기로에 서며, 한반도를 둘러싼 위기감이 고조되는 모양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가안보실과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국방과학연구소로부터 북한 무인기 대응 전략에 대한 비공개 보고를 받고 이렇게 지시했다고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이 전했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달 26일 소형 무인기 5대를 군사분계선 이남으로 침투시킨 것을 비롯해, 지난해 10~12월 7차례에 걸쳐 동·서해상 북방한계선 북방 해상완충구역 안으로 포병 사격을 가하는 등 최근 들어 9·19 군사합의를 자주 위반하고 있다. 대통령실 쪽에선 이런 상황에서 북한의 도발 의지를 꺾기 위해선 압도적 대응만이 답이라고 보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비단 무인기뿐만 아니라 미사일 도발을 포함해 사실상 북한의 합의 위반이 일상화되는 비정상적인 날들이 지속이 됐다”며 “앞으로 북한의 추가 도발이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 검토 지시를 두고 “오히려 북한에게 9·19 합의를 뛰어넘어 남한에 적대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여지를 준 꼴밖에는 되지 않는다”며 “전략적으로 잘못된 선택”이라고 비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9·19 폐기 수순?...尹 '北 재침범 땐 효력정지 검토''남북, 군사적 적대 행위 전면중지' 文 정부 합의 / 尹 '9·19 효력정지 검토'…4년여 만에 존폐 기로 / '北 비례적 수준 넘는 압도적 대응을 軍에 주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무인기 침범 등 연쇄 도발에…9·19 군사합의 존폐 갈림길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사실상 무의미해진 9·19 남북군사합의에 대해 결국 우리 정부도 효력 정지를 검토할 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윤 대통령, 북한 다시 영토 침범시 9·19 합의 효력정지 검토”윤석열 대통령은 4일 “북한이 다시 우리 영토를 침범하는 도발을 일으키면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검토하라”고 국가안보실에 지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윤 대통령 '북 다시 영토 침범 시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검토'윤석열 대통령은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과 관련, '북한이 다시 우리 영토를 침범하는 도발을 일으키면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검토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