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27.9%의 학생들이 '통일 이후 사회적 문제'를 들었습니다.\r북한 한국 통일
초중고교 학생 10명 중 3명이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는 정부 조사 결과가 17일 나왔다. 이는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14년 이후 역대 최고치다.
통일부와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초·중·고교 734개교에서 7만869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학생은 31.7%로 6.7%포인트 뛰었다. '잘 모르겠다/관심 없다'는 10.7%였다.통일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31.7%가 '남북 간 전쟁 위협을 없애기 위해서'였다.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가 16.2%로 그 뒤를 이었다. 다만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는 2020년과 2021년 각각 25.2%였던 데 비해 큰 폭으로 떨어졌다.
반대로 통일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27.9%의 학생들이 '통일 이후 생겨날 사회적 문제'를 들었다. 통일의 가장 큰 장애 요인에 대해선 30.1%가 '미사일, 핵무기 등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라고 답했다.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대상이냐는 질문에 '협력 대상'이라 답한 학생은 38.7%, 경계 대상으로 인식하는 학생은 38.1%로 팽팽하게 맞섰다. 지난해보다 협력 대상 인식은 13.9%포인트 떨어진 반면 경계 대상 인식은 11%포인트 높아졌다. 통일교육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생 82.7%, 교사 90.4%가 학교에서 통일교육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교육 내용은 '남북 간 평화의 중요성', '통일 이익', '북한사람들의 생활과 사회모습' 등이었다.
통일부는"교육부와 함께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세대가 관심을 가지는 '통일이익', '북한실상' 등에 대한 통일교육을 강화할 것"이라며"젊은 세대에게 친숙한 증강현실·메타버스 등을 활용한 신규 콘텐트를 개발하고, 체험교육이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통일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3493채 '빌라의 신' 일당, 집이 몇 채인지도 몰랐다[전세사기 '2400조직' 재판] 4명 중 유일한 불구속 김씨 "지시대로 해, 도장찍고 주급 250만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더 글로리' 뺨치네…제주 여중생 1명 집단폭행한 중고생 14명 | 중앙일보무리 중 한 명의 이야기를 하고 다녀 폭행했다고 진술했습니다.\r제주도 여중생 폭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교대 85% 정시 사실상 ‘미달’…인기 시들해진 까닭은올해 대입 정시모집에서 전국 교육대학과 초등교육과 13곳 가운데 11곳이 ‘사실상 미달’인 3대 1 미만의 경쟁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한때 ‘선호 직업’이었던 교사 인기가 시들해졌다는 분석입니다. ⬇️작년 재학생 396명 자퇴하기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정부 언론자유 후퇴” 10명 중 6명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언론자유가 후퇴했다고 답한 응답자가 10명 중 6명으로 나타났다.17일 뉴스토마토는 여론조사 기관 미디어토마토에 의뢰해 지난 13~15일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는데, 전체 응답자의 59.3%가 이번 정부 들어 ‘언론 자유가 후퇴했다’고 답했다. ‘언론자유가 나아졌다’는 응답자는 31.0%로 ‘후퇴했다’는 응답자의 절반 수준이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9.7%였다. 이번 정부들어 언론자유 관련 이슈가 적지 않았고, 특히 이번 여론조사를 의뢰한 뉴스토마토 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 70%, 실내마스크 의무 해지 타당하다 인식'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타당한 결정으로 생각한다는 내용의 설문 조사 결과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인 5명 중 1명 정부 보조금 의존, 일하는 고령자도 증가노인 5명 중 1명 정부 보조금 의존, 일하는 고령자도 증가 용인시민신문 용인시민신문 함승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