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 다섯번째 감사…“보 해체 사실상 무산” KBS KBS뉴스
지난주부터 쏟아진 집중호우로 전국이 물난리를 겪고 있는 요즘, '치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다시 높아졌는데요. '4대강 사업'과 관련된 또 한 번의 감사원 감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듬해인 2018년 말에는 4대강 조사·평가위원회가 출범했는데, 여기서 '재자연화'의 대상과 규모, 방식 등을 연구해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제안하면,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의결하는 구조였습니다.기획위원회는 민간 전문가와 환경부 공무원 등 15명으로 구성됐고, 전문위원회는 '물 환경'과 '수리·수문', '유역협력', '사회·경제' 4개분과의 43명의 전문위원으로 구성됐습니다. 감사원은 43명의 전문위원회 위원 중 25명이 4대강 재자연화 시민위원회가 추천한 인사로 선정됐고, 시민위원회가 4대강 사업을 찬성・방조했다는 사유로 제외해달라고 요청한 41명은 아무도 위원으로 선정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환경단체 강력 반발..."환경단체 인사 많았던 건 당연한 일"조사·평가위원회 전문위원이었던 풀씨 행동연구소 신재은 캠페이너는"4대강 자연성 회복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공약이었고, 조사평가위는 자연성 회복을 위한 방법을 고민하는 위원회였기 때문에, 환경단체 인사들이 많이 참여했던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감사원은 '보 설치 전' 수질 자료는 4대강 사업으로 하천의 형상이 많이 바뀌어서 비교가 어렵고, 측정 지점도 보와 멀리 떨어져 있어 자료의 대표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감사원은 빈약한 '수질 자료' 때문에 조사평가 위원들이 고심을 거듭한 흔적들이 당시 회의록에도 남아있다고 감사보고서를 통해 밝혔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反4대강단체가 보해체 위원선정'…文정부 김은경 장관 수사요청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동환 기자=문재인 전임 정부 시절 금강·영산강의 보 해체 결정이 이뤄진 과정에 '4대강 사업 반대 시민단체'가 개입했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류·지천 사업 해야' vs '남 탓 말라'윤재옥 원내대표도 지금은 시간이 걸리는 추경 예산 편성 심사보다는,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수해 및 재난 예방 관련 법안 등을 챙기는 일에 국회가 주력해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송 참사 '물관리 일원화' 탓한 대통령에 민주당 '물타기'윤 대통령 "물관리 제대로 못할 거면 국토부로"... 민주당 "4대강 사업 재추진에 골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물관리 일원화’ 되돌리고 ‘포스트 4대강’…“토건족 배만 불릴 것”오송 지하차도 침수 참사를 계기로 때아닌 ‘물관리 일원화’ 폐기론이 나오고 있습니다. 여당에선 이참에 물관리 업무를 국토교통부로 다시 이관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더불어민주당은 “수해 재난마저 정쟁 수단으로 삼고 있다”고 정부·여당을 비판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의힘 최고위원, ‘초등교사 사망’에 “진보교육감 때문”7월 20일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에서 나온 말입니다. 장예찬 최고위원은 진보교육감들 때문에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숨졌다는 취지의 주장을 펼쳤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