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지난해 4대 금융지주가 이사회에서 논의한 안건 총 128건 가운데 부결된 안건은 없었다. 반대 의견을 낸 것도 전체 4건에 그쳤다.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가 이번주 일제히 정기 주주총회를 연다.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지배구조 정상화를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거수기에 불과한 것으로 비판받고 있는 은행권 사외이사들의 연임률이 70%를 넘길 것으로 예상돼 논란이 일고 있다.이사회 '거수기' 비판받는 사외이사 70% 이상 재추천정부와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지배구조 정상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서도 올해 주요 금융지주의 이사회 구성원 변화는 예상보다 크지 않을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주인없는 회사'인 금융지주 수장들의 제왕적 지배구조 배경에 거수기 이사회가 자리잡고 있다고 보고 있다.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 ISS는 최근 발표한 4대 금융지주 주총 안건 관련 보고서에서 신한·하나·우리금융의 사외이사 연임 후보들에 대해 반대할 것을 권고했다. 라임·파생결합펀드 사태, 채용 비리, 대규모 횡령 사태 등 금융지주의 대형 사고가 잇따른 가운데서도 이사회가 별도의 대응 없이 넘어가 연임 자격이 없다는 주장이다.하지만 4대 금융 사외이사의 70% 이상이 재추천돼 연임될 예정이다. 4대 금융의 임기 만료 사외이사 28명 중 21명이 연임 후보로 추천됐고 이중 새로 추천된 사회이사 후보는 7명이다. 통상 추천된 후보가 주총에서 선임되는 않는 경우는 드물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 후보들이 연임에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당국은 사외이사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겠다고 천명했다. 지난달 6일 금융감독원은 업무보고에서 금융지주 이사회의 독립성을 높이겠다며 감독 당국과 은행 이사회 간 직접적인 소통을 정례화하며, 은행 이사회 구성의 적정성, 이사회의 경영진 감시기능 작동 여부 등에 대해 면밀한 실태점검을 시행하겠다고 했다.'주주환원 확대' 주목…역대급 이익에 주주가치 제고 추진금융권에 따르면 신한·KB·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들은 이번 주주총회를 통해 대폭 확대된 배당 성향 정책을 결의할 예정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글로벌 은행 파산 공포에 금융시장 '휘청'…다음주 연준 주목도↑지난 한 주 동안 글로벌 금융시장은 실리콘밸리뱅크(SVB) 파산 사태를 둘러싼 공포 심리에 크게 휘둘렸다. 다른 은행의 추가 붕괴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오는 23일엔 글로벌 영향력이 상당한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재 술' 양주? 대형마트서 '국민 술' 소주보다 더 팔렸다 | 중앙일보코로나 이후 MZ세대를 중심으로 위스키의 인기가 급증했습니다.\r양주 위스키 소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밤에 아기만 울어'의 반전…76일 아기 사망 뒤늦게 추가된 혐의 | 중앙일보아동학대치사는 ‘무혐의’를 받았었지만 5개월 만에 판단이 뒤집혔습니다.\r아기 아동학대 방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은행이 공공재? 심지어 ‘공공의 적’ 취급받는 이유지금의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과점 체제는 과거 외환위기(IMF 사태)에서 비롯됐다. 1997년 11월 21일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할 당시만 해도 국내 일반은행(시중은행+지방은행)은 26개에 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축구협회, 클린스만호 데뷔 앞두고 '2천701호 논란' 방지책 발표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의진 기자='클린스만호'의 데뷔전을 앞두고 대한축구협회가 2022 카타르 월드컵 직후 불거진 '2천701호 논란'과 같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