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노빌 핵사고 37주기... 대전단체 '핵진흥 정책 폐기하라' 체르노빌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능오염수방류 핵사고 핵진흥정책 장재완 기자
체르노빌 핵발전소 폭발사고 37주기를 맞아 대전지역 환경단체와 진보정당이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방류를 규탄하고, 한국 정부의 핵진흥 정책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날 핵사고로 인한 희생자와 오염된 자연환경을 추모하는 의미로 보라색 옷을 입고 나온 문성호 대전충남녹색연합 공동대표는 여는 발언을 통해"독일은 지난 15일 마지막 남은 핵발전소 3곳의 가동을 중단하면서 탈원전을 이뤄냈다"며"독일이 탈원전의 길을 걷게 된 것은 1986년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의 공포, 그리고 2011년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의 참상 때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그럼에도 윤석열 정부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30년까지 핵발전 비중을 종전 계획 21.5%에서 32.8%까지 늘리고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30.2%에서 21.5%로 낮추겠다고 발표했다"며"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을 자처한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의 안전과 생명은 내팽개치고 자본과 기업의 마름 노릇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그는"폭발 이후 방사성 물질에 대해 거대한 석관으로 봉인만 했을 뿐 원자로를 어떻게 처리할지 뚜렷한 방법이 없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2065년까지 발전소를 해체하고 정화 작업을 완료하겠다고 했지만 전쟁 이후 어떻게 될지 불투명한 상황"이라며"방사능 낙진이 떨어진 벨라루스는 국토의 3분의 1이 방사능 오염으로 여전히 출입금지 구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가 발생한 지 12년이 지나고 있지만, 사고 수습은커녕 방사성 물질로 인한 피해와 오염은 날이 갈수록 지속되고 있다. 거기에 덧붙여 일본 정부는 올 여름 방사성 오염수 해양 투기를 준비하며 지구 전체를 오염시키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오마이포토2023] '안전한 핵은 없다' 체르노빌 핵사고 37주년 캠페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검정고무신' 창작자의 죽음... 재발 방지 위해 나아가야 할 길'검정고무신' 창작자의 죽음... 재발 방지 위해 나아가야 할 길 검정고무신사태 저작권법 불공정계약 이우영작가 한국만화협회 윤세리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통일교육, 현 정부의 대북정책 따르라?통일교육, 현 정부의 대북정책 따르라? 통일교육 윤석열 통일 교육 대북정책 정덕경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전시, 장애인 6대 정책 요구안 적극 수용하라''대전시, 장애인 6대 정책 요구안 적극 수용하라' 대전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인부모연대 대전시 장애인정책요구안 발달장애인지원대책 장재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피지컬100 제작하고 떠난 지상파PD…OTT 역설적 환경 극복하려면MBC PD들이 연출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피지컬:100’ ‘나는 신이다’ 흥행은 지상파의 생존을 위한 현실과 딜레마를 보여줬다. MBC 제작진이 만들었지만 지적재산권(IP)은 넷플릭스 소유가 되고, 성공한 PD는 방송사를 떠난 결과에 방송계 평가도 엇갈린다. KBS 제작기획2부의 유건식 박사(언론학)는 공영방송다운 콘텐츠와 IP 확보, 정부 차원의 진흥 정책 등이 보장돼야 ‘공영미디어’가 생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유건식 박사는 21일 한국방송학회 봄철정기학술대회에서 ‘OTT 환경에서 한국 방송의 역할 진단 및 방향 모색’ 주제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