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하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 채용계획 인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만3천 명 줄어들었다. 특히 300인 미만 사업체 채용계획이 큰 폭으로 감소하며 불경기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올해 4분기부터 내년 1분기까지 기업들의 채용계획 인원이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3만3천 명가량 줄어 채용시장에 낀 먹구름이 당분간 가시지 않을 전망이다.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만3천 명(5.9%) 줄어든 규모다.산업별로는 제조업이 11만5천 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6만5천 명, 도소매업 6만2천 명, 숙박 및 음식점업이 5만3천 명의 채용계획 을 갖고 있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등은 채용계획 을 늘렸으나 제조업과 정보통신업,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등에서는 줄였다.특히 300인 미만 사업체에서 채용계획 이 47만8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만2천명(6.2%) 감소했다. 10월 1일 기준 부족인원(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시설의 가동,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은 52만2천 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2만3천 명(4.2%) 줄었다.
3분기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인 구인·채용 현황을 보면 구인은 126만8천 명으로 작년보다 3.1% 증가했다.특히 외국인의 구인 및 채용인원이 4만1천 명(11.7%), 3만8천 명(20.2%)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적극적인 구인에도 채용하지 못한 인원인 '미충원 인원'은 3분기 12만2천 명으로, 작년보다 13.1% 줄었다. 미충원율은 1.8%포인트 줄어든 9.6%다.미충원 사유로는 '사업체에서 요구하는 경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기 때문'(23.8%)이 가장 많았고,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23.2%)이 뒤따랐다.노동부는'부족인원 및 채용계획 인원의 감소는 2021∼2022년 해당 항목 수치가 많이 증가했던 기저효과와 지속적으로 인력 충원이 이뤄져 미충원 인원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다만'부족 인원은 경기가 안 좋을 때도 줄어들 확률이 높고, 이에 따라 채용계획 인원도 함께 줄어들 수 있다'며'채용계획 인원의 감소 추세는 불경기 영향으로 사업체노동력조사에서 근로자 수의 증가 폭이 둔화하는 양상과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고 부연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호텔업계, 크리스마스 마케팅에 사활 걸고 '연말 특수 기대'성탄절 장식 열전 불경기·비상계엄 겹쳐 예약률 기대 이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올해 하반기 경제, 상반기보다 처참” 회계사들 경기실사지수한공회 회계정책연구원 ‘CPA BSI’ 발표 올 하반기 BSI 66, 상반기보다 대폭 하락 美 정책 불확실성 탓 내년 경제 부정 전망 트럼프 관세 압박에 수출 타격 우려 심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덕수 권한대행 탄핵, 한국 외교 어려움 심화 우려한덕수 국무총리 권한대행 탄핵소추안 가결로 '대행의 대행'이라는 초유 상황 발생. 외교 리더십 공백 심화 우려, 정상급 소통 어려움, 부처 간 협력 어려움 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덕수 권한대행 탄핵, 외신 '한국 정치 불안정 심화' 우려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자 외신들은 한국 정치적 불안정성 심화를 우려하며 긴급 타전했다. NYT는 한국 리더십 위기 심화와 정치적 공백 장기화를, BBC는 정치적 교착 상태와 불확실성 심화를 전망했다. WSJ는 양당 협력 부재를, 닛케이는 행정 당국의 혼란을 지적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BSI 급락, 경기 침체 심화 우려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발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4년9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 기록, 석유화학·철강 업황 악화, 소매시장 침체, 폐업자수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장기 국채 금리 역대 최저, '디플레이션' 우려 심화중국의 장기 국채 금리가 줄줄이 2% 선을 뚫고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며 디플레이션 우려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중국 경기 둔화와 물가 하락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채권을 몰리는 현상이 심화되어 채권 금리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부동산 시장도 침체 상태에 있으며, 소비와 투자 활동이 위축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