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지병원 연구팀 입증대면진료와 효과 차이없어환자 100만시대 대안으로
환자 100만시대 대안으로 올해 89세인 남성 A씨는 12년 전 치매 진단을 받고 한 의료기관에서 약물을 처방받았다. 하지만 꾸준히 치료받지 못해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다. 그러던 중 국내 한 병원에서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소식을 듣고 참여를 결심했다. 인지중재란 예술활동 등으로 환자의 뇌를 깨우는 치료법을 말한다. 온라인 치료와 더불어 놀이학교 수업을 병행한 결과 A씨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에서 이전보다 눈에 띄게 향상된 점수를 받았다.일일이 병원에 갈 필요가 없는 만큼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한층 덜어줄 뿐 아니라 의료진의 처방 선택지가 넓어졌다는 면에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8일 명지병원에 따르면 정영희 신경과 교수와 이소영 예술치유센터장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42명을 대상으로 약물 치료와 대면 진료, 온라인 영상을 통한 비대면 치료를 동시에 진행했다. 세부적으로는 참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겐 4주 대면 치료 후 4주 비대면 치료를, 다른 그룹에겐 4주 비대면 치료 후 4주 대면 치료를 실시했다. 비대면 진료로는 인지훈련에 도움을 주는 음악, 미술 등 예술치료가 병행됐다. 연구팀이 치료 4주 차와 8주 차에 각각 환자들의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 그룹 모두에서 인지기능과 우울증, 불안, 일상생활 수행능력 등 지표가 크게 개선됐다. 특히 여기서 주목할 점은 대면 진료와 비대면 진료 간 치료 효능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이번 연구는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장기간 의료공백 상황에서 치매 환자에 대한 비대면 원격 치료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입증한 결과"라며"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승인된 약물 투여와 대면·비대면 방식의 인지훈련과 예술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인구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치매 유병률도 매년 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60세 이상 치매 환자는 2020년 86만3542명, 2021년 91만726명, 2022년 95만351명으로 집계됐다. 의료계에선 1~2년 내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자식 고생 시킬까 걱정마세요”...시설 늘리고 보험혜택도 커져요양원 아닌 집에서 돌봄받는다 시설급여만큼 재가급여 인상 치매 이외도 장기요양가족휴가제 도입 요양시설 확대, 민간도 임차 허용 고령화 대비 독일식 미래준비금도 검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술∙전시·문화재 1페이지 | 문화미술∙전시·문화재 뉴스 1페이지, 중앙일보의 미술∙전시·문화재 최신 뉴스를 만나보세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피프티 피프티, 첫 심경 토로 “오해·비난 거둬달라…진실 밝힐 것”전속계약 분쟁 2개월 만에“우리 음악 지키려는 선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술품, 난 은행에서 사! 게다가 그걸로 담보대출도금리 인상기는 미술 투자의 혹한기로 불릴 정도로 미술 투자가 외면받는 시기인데, 프리즈로 살펴본 미술 투자 열기는 뜨거우니까요. 경매 회사 입장에선 미술품 담보 대출로 이자 수익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인 작품 수급을 원활히 하는 측면에서도 도움이 되는 사업입니다. 미술 시장은 작가의 작품을 우선적으로 선보이는 ‘갤러리 시장’(1차 시장)이 있고, 이 1차 시장에서 거래된 작가의 작품을 다시 시장에서 거래하는 ‘경매 시장’(2차 시장)이 있는데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