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 올 2월말까지 414건 발생... 국내 유행성 낮지만 예의주시
일본에서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이 지난해 총 941명으로 역대 최다 환자가 발생했고, 올해 들어 2월 말까지 총 414건이 발생하는 등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국내로 유입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가 발표한 STSS 환자 발생현황에 따르면, 일본 STSS 환자는 코로나19 유행기간에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정책으로 인해 발생이 감소했다가, 2023년 941명으로 증가하였고, 2024년 2월 말까지 신고된 환자 수가 414명으로 예년 대비 높은 발생을 보이고 있다.질병청은"원인병원체인 A군 연쇄상구균에 감염된 경우 대부분은 인플루엔자와 비슷한 경미한 호흡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면서"침습적인 감염이 진행되는 경우 고열, 발진, 류마티스열, 사구체신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괴사성 근막염, 다발성 장기부전, 독성쇼크증후군 등으로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질병청은 국내에서는 STSS를 별도의 법정감염병으로 분류하여 신고를 받지는 않지만, '성홍열 합병증 환자' 전수 역학조사 및 급성 호흡기 환자 병원체 감시사업을 통한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STSS와 동일한 원인병원체인 A군 연쇄상구균의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성홍열을 2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하여 감시하고 있다.질병청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성홍열 환자는 810명 발생했으며 코로나19 유행 이후 다소 증가하는 추세이나, 코로나19 유행 이전 대비 매우 낮은 발생을 보이고 있다. ▲2018년 1만5777명 ▲2019년 7562명 ▲2020년 2300명 ▲2021년 678명 ▲2022년 505명 ▲2023년 810명으로 집계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근력운동, 주3일·1년 이상 하면... '근감소증 위험' 20% 준다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 KoGES 참여한 40세 이상 남녀 약 13만명 대규모 데이터 분석 결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갑서 현금 안 꺼낸다”…작년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일 평균 1.2조원 ‘최대’간편결제 이용도 증가세 일평균 8755억원 ‘최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5분 면담하고 안락사 진행…의사에 ‘징역 18년’ 선고한 일본교토지법, 안락사 의사에 살인 판결 “약물 투여 대가로 1100만원 수령 환자 위한 결정으로 보기 어려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머스크의 ‘뉴럴링크’, 뇌파로 체스 두는 장면 시연‘텔레파시’칩 이식 환자 공개 머리 주변 복잡한 전선 없이 대화하면서도 커서 조종 가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엔 캐리 트레이드’도 마침표 찍을까…촉각 곤두세운 ‘일학개미’들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 시대를 종료하면서 일본 증시에 대거 투자한 ‘일학개미’들도 글로벌 자금 흐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본 금리 인상 이슈가 이미 시장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경덕이 일본 욱일기 때리자...'딸 얼굴 합성 공격 쏟아져'전 세계적으로 일본 욱일기 퇴치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를 향해 일부 일본 극우 네티즌들이 도를 넘는 공격을 벌이고 있습니다.서경덕 교수는 소셜미디어에 본인과 딸의 얼굴이 합성된 사진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