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CEO특강 / 이채린 클라썸 대표 이화여대서교육체계 빠르게 변하는 중개인별로 흥미까지 찾아내맞춤형으로 동기 부여 가능대기업도 쓰는 '교육계 카톡'업무에서 AI 활용해 문답도
업무에서 AI 활용해 문답도 "현 교육 시스템에서 학생들은 질문이 없는 것이 아니라 질문을 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인공지능 도입으로 교육현장이 개인의 학습능력과 상황, 흥미까지 고려해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교육계 카카오톡'으로 불리는 클라썸은 2018년 KAIST 출신 이 대표와 최유진 대표가 함께 설립한 에듀테크 기업이다. 클래스와 포럼의 합성어로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수, 학생과 조교 등 학교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토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시작했다. 이후 AI 기술을 접목해 구성원 간 소통 과정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최근에는 AI 솔루션을 고도화해 회사 업무 과정에서 생기는 질문에 대해 답변과 출처를 제공하는 'AI 도트 2.0'을 출시했다. 직원들이 궁금한 점을 대화 형식으로 남기면 사내에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답변해주는 방식이다. 현재 클라썸 이용 고객은 32개국 1만1000여 개 기관으로, 서울대·KAIST·연세대 등 대학뿐만 아니라 삼성·LG·현대 등 글로벌 기업들과 정부 기관까지 이용하고 있다.
첫 창업에서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비결을 묻는 질문에 이 대표는"체력과 일에 대한 높은 몰입, 학습능력 덕분"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장점을 극대화하고 여러 시행착오를 자양분 삼아 회사를 성장시킬 수 있었던 세 가지 전략을 소개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 경제 문제 해법은 경기 부양이 아니라 교육...창의력 교육·입시개혁 이뤄내야”국민경제자문회의·한국경제학회 공동 정책세미나 “정부가 내실 있는 경제 교육 공급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치원·어린이집, 이르면 2026년 통합…윤곽은 연말 드러날 듯(종합)(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미취학 아동이 다니는 교육·보육 기관인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이르면 2026년 통합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치원·어린이집, 이르면 2026년 통합…윤곽은 연말 드러날 듯(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미취학 아동이 다니는 교육·보육 기관인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이르면 2026년 통합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글로벌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의 요람'현장·실습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제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31개 교육·시민단체 '교육부가 또 대형 폭탄 터뜨려'24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 열고 교육 데이터 공개 철회 촉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IMF “AI, 불평등 심화·고용 감소 유발 우려”고숙련 일자리 감소 가능성 지적 교육·실업보험 등 대책마련 촉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