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전부터 근로복지공단 지정 병원에서 진폐 확진을 받았지만, 공단 심사에만 가면 확진이 아니라 의심증이라고 한다. 맨몸으로 걸어도 숨이 찬데, 몇년째 같은 검사를 받게 하니 답답하다”
업무상 질병 판정은 1만8천여명뿐 광산진폐권익연대는 지난 4월 정선군 사북읍 사북청소년장학센터에서 ‘제8회 진폐 재해자의 날’ 기념식을 열었다. 정선군 제공 “젊을 때 워낙 건강했으니, 호흡이 좀 가빠도 ‘나이 들어 그런 거려니’ 했지. 그런데 진폐증이래. 그 소릴 들으니 하늘이 노래지더라고.” 진폐는 폐에 분진이 달라붙어 염증이 생기고 폐가 점점 굳어가는 질환으로 광부들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숨이 쉽게 차고, 가래가 끓거나 기침도 자주 난다. 폐결핵, 폐암 등 합병증이 올 수도 있다. 동원탄좌 사북광업소에서 32년 동안 근무한 최월선은 광업소가 문 닫아 일을 그만둔 지 17년이 지난 2021년에야 진폐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한창 일할 때도 탄가루 마시면 나쁘다는 건 알았지만, 먹고사는 게 녹록지 않으니까 그냥 들어갔지. 그런데 병들고 보니 갈수록 고통이 심해져. 더 나빠지지만 않으면 좋겠어.
구세진씨 제공 최월선과 같은 사북광업소에서 19살 때부터 일했다는 구세진도 현직 광부로 있던 2004년 진폐 확진자가 됐다. 그는 “굴속에서 탄이 내려오면 1m 앞도 분간이 안 된다. 그걸 그냥 들이마시면서 일했으니 폐가 멀쩡할 리 있었겠느냐”고 했다. 고용노동부 산재보험 통계를 보면, 업무상질병 판정을 받은 진폐 환자는 2021년 기준 1만8742명이다. 장해 등급에 따라 진폐보상연금을 받는다. 하지만 병원에서 진폐 판정을 받고도, 근로복지공단 진폐심사위원회에서 ‘무장해’ 판정을 받는 이들도 더러 있다. 사북광업소에서 5년 동안 일하다 퇴직한 구아무개씨는 고 하소연했다. 광산진폐권익연대가 확보한 ‘진폐 정밀검진 이의신청 현황’을 보면, 2017∼2021년 이의신청을 통해 장해를 인정받거나 장해 등급이 높아진 사람은 206명이다. “우리 추산으로는 전국에 진폐 환자가 최소 3만명입니다. 확진 판정 받은 사람과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 만성 폐쇄성 질환자를 다 합치면 그 정도예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3살에 잉어 문신…지울 땐 “끓는 라면냄비 덴 고통” 2년 [영상]“양아치들 많이 오는 데라 미성년자도 다 해줬어요” 즉흥적으로 문신을 했다가 후회하는 미성년자들이 많은 만큼 다른 나라에선 미성년자 문신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지만, 한국에는 어떤 기준도 없는 상황입니다. 문신 제거를 결정한 10대들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Pick] 두개골 다 부서진 생후 47일…숨지기 전 친모가 검색한 건' 한 바퀴 돌려서 다 골절입니다. 좌측, 후두부, 앞쪽 할 것 없이요. 한번 떨어뜨린 거로는 이렇게 안 됩니다. 학대가 아닐 수가 없는 거죠.' - 2021년 사건 발생 당시 병원 관계자 인터뷰 - 생후 47일 된 영아를 학대해 두개골 골절 등으로 사망에 이르게 한 친모가 항소심에서도 징역 10년을 선고받았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짜 의사' 주석중 교수 비보에 추모 물결...'새벽에 나타나 환자 살폈다'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했다는 비보에 SNS에는 그에게 수술받았던 환자와 환자 가족들의 추모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학병원 교수가 병실 닳도록…” 교통사고 사망에 애도 물결주석중 교수가 교통사고로 숨진 사실이 알려진 뒤 애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노환규 전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이 사회는 자기 자리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함으로써 ‘조용하고 의미 있는 발전’을 이뤄내는 ‘조용한 영웅’에 의해 발전하는 것”이라며 주 교수를 기렸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