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국회 본청 출입을 봉쇄하려는 계엄군과 당직자들이 몸싸움을 벌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불법·위헌 계엄 방지 3법’이 발의되며,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계엄 해제 원격 회의법 등 3건의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할 때 국회에 즉시 통고하지 않으면 계엄 선포를 무효로 하고, 계엄군에 의해 국회가 봉쇄될 경우 원격 영상회의로 계엄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불법·위헌 계엄 방지 3법’이 발의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재차 선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사그라들지 않는 가운데 ‘12·3 계엄 사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국회 차원의 입법 추진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계엄군에 의해 국회 본회의장이 봉쇄될 경우 계엄 해제 안건에 한해 원격 영상회의 방식으로 본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계엄 해제 원격 회의법’ 등 개정안 3건을 대표발의했다. 진 의원을 포함해 민주당 의원 10명이 공동발의했다. 진 의원은 “국가 비상시에도 헌법기관으로서 국회의 기능과 권한을 보장할 수 있도록” 계엄 해제 안건에 한해 본회의 진행 방식을 유연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윤 대통령이 지난 3일 밤 계엄을 선포한 이후 계엄군과 경찰이 국회 안팎에 투입돼 계엄을 해제하려 본회의장으로 집결하던 국회의원들의 출입을 막았다.
대통령이 계엄법 4조가 규정하는 ‘국회 통고’ 절차 등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계엄 선포의 효력을 무효로 하는 ‘불법 계엄 무효법’도 발의했다. 현행 계엄법은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할 때 지체 없이 국회에 통고하도록 하고, 국회가 폐회 중일 때에는 지체 없이 국회에 집회를 요구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밤 계엄령을 선포하고 국회에 통고하지 않아 비상계엄의 절차적 요건을 갖추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내·외곽 경비는 경찰청에서 파견된 경찰 공무원이 아니라, 국회 내 자체 특별사법경찰관이 하도록 하는 내용의 ‘국회 자체경비법’도 발의됐다. 현행 국회법상 국회 외곽 경비는 경찰 공무원이 맡고 있어 계엄 등 국가 비상상황이 선포될 경우 국회가 외곽 통제권을 잃어버린다고 진 의원실은 지적했다. 개정안은 국회 내 자체 특별사법경찰관 직제를 편성하도록 했다.진 의원은 “불법 계엄 방지 3법은 무도한 정권이 다시 총칼로 민주주의를 위협하지 못하도록 막는 방파제가 될 것”이라며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했다.
윤석열 비상계엄 계엄 해제 원격 회의법 불법 계엄 무효법 국회 자체경비법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반대로 헌법 수호 책임 저버려여당인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의 위헌적 계엄 선포에 대해 탄핵소추에 반대하며 내란죄로 볼 수 있는 위헌 계엄 선포의 책임을 묻는 헌법 수호의 가장 우선적인 책임을 저버렸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불법 계엄 규탄 시민단체, 광화문광장 집결민주노총과 한국진보연대, 참여연대, 민변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불법 계엄 선포를 규탄하고 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시도를 저지한 4일, 이른 오전부터 노동, 종교, 시민사회단체들이 광화문광장으로 대거 모여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을 내란죄 피의자로 규정하며, 전면적인 저항운동에 돌입하겠다고 선포하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계엄' 관련 국무회의 참석 의견 밝혀조규홍 장관이 국무회의에서 계엄 선포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언급하며, 포고령에 대한 동의 불가 입장을 나타냈다. 또한, 그는 계엄 해제 결정 국무회의 불참에 대해 설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김교흥 의원, 정당법 개정안 발의더불어민주당 김교흥 의원이 당내 선거 과정에서의 범죄 행위에 대한 공소시효를 6개월로 제한하는 내용의 정당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로 인해 공소시효 완성된 범죄는 면소 판결이 내려질 수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 의원, 중고생 SNS 사용 금지 법안 발의 주장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호주에서 16세 이하 청소년의 SNS 사용을 전면 금지한 법안을 통과시킨 것에 착안해, 학생들의 SNS 사용을 제한하는 법안을 발의하겠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법안은 중고생들의 SNS 과몰입을 방지하고자 제안되었으나, 일부에서는 학생들의 인권 침해를 우려하며 반대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정현 의원, 국민 알 권리 강화 '정보공개법 개정안' 발의담당 공무원의 자의적인 판단에 따른 정보공개 거부를 막아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정보공개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정현(대전 대덕구,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은 7일 국민의 알 권리를 강화하고, 동시에 악성 민원으로부터 정보공개 담당 공무원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정보공개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