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감독관이 직접 조사할 수 있는 직장 내 괴롭힘의 범위가 법에 명시되지 않은 탓이다
녹취 주니 “그걸 내가 들어야 하나”…‘직접 조사 범위 명시’ 필요 서울 마포구의 한 커피숍에 모인 직장 갑질 피해자 20여명이 종이봉투로 만든 가면을 쓰고 각자의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모습. 직장갑질119 제공. 직장인 ㄱ씨는 최근 회사에 취직한 사장의 친인척의 ‘갑질’에 시달려 왔다. 휴가원을 내도 “휴가가려면 영원히 쉬라”고 막거나, 건건이 시비를 걸어오곤 했다. 고민 끝에 ㄱ씨는 증거를 모아 ‘직장 내 괴롭힘’으로 신고하기로 마음 먹고 회사를 나왔다. 그러나 정작 조사에 나서야 할 근로감독관은 자꾸만 “회사의 조사를 받으라”고 했다. “대표이사와 관리자가 모두 가족인데 회사에서 조사를 받으라니요. 너무 답답합니다.” ㄱ씨는 결국 고용노동부 대신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로 발길을 돌렸다. 다음달이면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이 시행된 지 1년이 되지만, 피해를 본 노동자가 신고를 해도 조사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법 취지를 고려하면 근로감독관에게도 조사의 권한과 책임이 있는 셈이다. 그러나 직장갑질119의 설명을 들어보면 일부 근로감독관들은 “우리가 직접 조사할 권한 자체가 없다”, “해줄 수 있는 게 없다”며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사쪽에게서 일방적 해고 통보를 받은 노동자 ㄴ씨는 “피해를 당한 녹취를 근로감독관에게 주니까 ‘그걸 제가 꼭 들어야 하냐’고 하더라. 노동청을 나오는데 눈물만 나왔다”고 호소했다. 또다른 노동자 ㄷ씨는 “상사를 직장 내 괴롭힘으로 노동청에 신고했는데 근로감독관은 ‘그 나이 꼰대들이 할 수 있는 행동이다. 나도 그런다’고만 했다”고 하소연했다. 이 때문에 올해 3월 고용노동부의 직장 내 괴롭힘 진정사건 처리 현황을 보면, 종결된 사건 2739건 중 진정을 취하한 경우가 1312건으로 47.9%에 이른다. 지난 1년동안 현행법의 사각지대가 드러난 만큼 정부가 근로감독관의 직접 조사 범위 등을 포함해 구체적인 개선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여중생 성착취물 팔고 성폭행한 10대, 반성문 210개 안통했다동영상을 촬영하지 않으면 갖고 있는 동영상을 부모와 친구들에게 전송하겠다고 피해 여중생들을 협박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타벅스 잡는다’ 큰소리치던 루이싱커피 29일 상장폐지투자자들에 수조원대 피해 남기고 ‘중국판 스타벅스’ 신화 막 내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찰, n번방 성착취물 ‘단순 재유포자’ 첫 구속영장 신청경찰이 엔(n)번방 사건의 주범인 ‘박사’ 조주빈과 ‘갓갓’ 문형욱 등이 제작한 아동 성착취물을 소지하고 재유포한 20대 남성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성착취물을 단순 재유포한 것 만으로 구속영장을 신청한 것은 처음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상이 실내 고립 서바이벌, 재난세대는 이렇게 ‘살아있다’[토요판] 한동원의 영화감별사좀비가 된 낙오자들의 공격인터넷·모바일 연결 끊기고외부 접촉이나 탈출 못 하는자가격리가 최선인 재난상황탈출구 없는 아파트에 갇혀‘타인과 연결’ 필사의 노력좀비 피해 더 높은 꼭대기로‘뚝 떨어질’ 구원은 있을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