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타오바오·티몰 한국 진출가성비 전략 내건 타오바오품질 앞세운 티몰 동시진출年 거래 규모 총 1900조원韓 판매자 판로 늘어나지만글로벌 유통망 잠식 우려공정위, 알리·테무 자율협약'위해물품 발견 땐 판매 중지'정부, 소비자보호책 만들 듯
공정위, 알리·테무 자율협약정부, 소비자보호책 만들 듯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커머스인 타오바오와 티몰이 한국에 진출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국내 유통업계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중국 시장 판로를 확장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한국 상품을 현지에 수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유통마진까지 중국 업체가 모두 가져갈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중국 소비자 사이에서 타오바오는 알리바바그룹 안에서도 가장 낮은 가격으로 상품을 살 수 있는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다. 타오바오는 셀러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중개 역할을 수행하는 온픈마켓인데, 누구든지 마음만 먹으면 셀러로 등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악한 상품을 구매할 가능성도 높지만 리뷰를 꼼꼼히 살피면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 제품을 살 수 있어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높다. 중국 현지 유통가와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거래액은 990조원으로 중국 내 1위다. 유통업계에서는 알리바바그룹이 전방위로 한국 진출하는 것에 대해 기대와 우려를 함께 제기한다. 긍정적 역할에 주목하는 쪽에서는 점차 악화하는 중국 직판·직구 수지를 근거로 든다. 올해 1분기 기준 중국 직판은 2433억원으로 중국 직구 대비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중국 내 영향력이 큰 타오바오티몰이 한국 셀러 판매를 도움으로써 수출에 해당하는 직판을 늘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게 긍정론의 요지다.
이번 자율협약으로 알리와 테무는 정부 등이 제공하는 위해 제품 정보를 기반으로 한 자체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또 정부 등 외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위해 제품의 유통·판매를 차단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테무·알리 판매 어린이용품 일부서 ‘발암가능물질·납’ 기준치 크게 초과중국 해외 온라인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용품 일부에서 발암가능성물질과 납 등이 기준치를 크게 초과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테무·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싸다고 샀는데 실망, 그냥 버렸어요”...알리·테무 직구, 한풀 꺾였다통계청 1분기 통계 분석 유해성분·배송 등 불만 폭증 전분기대비 구매 12% 감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알리·테무 매서운데 ‘이것’까지 온다…미국서 돌풍, 한국상륙 임박알리·테무 사용자 1700만명 초저가로 빠르게 시장 장악 美서 돌풍 틱톡샵도 상륙 준비 연내 쿠팡 이용자 제칠 수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말 많고 탈 많은 알리, 사실 다 계획이 있었다?보통 해외 이커머스 플랫폼은 ‘일괄 위탁관리’나 알리가 이전에 취했던 ‘판매자 자영업’ 모드로 운영된다. 작년 8월 알리는 판매자 자영업과 일괄 위탁관리의 중간쯤에 해당하는 ‘반 위탁관리’ 서비스를 출시하고 시범 운영을 진행했다. 한국 시장이 그렇게 매력적인가? 그래도 ‘시장’하면 땅 넓고 사람 많은 중국이 제일 아닌가? 실제로 작년 5월에 발표된 알리바바의 23년도 1분기 보고서 분석에 따르면 경기 둔화 및 산업 경쟁 심화로 알리바바의 핵심 사업인 중국 내 이커머스 성장 둔화로 매출 부진을 겪고 있다고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알리·테무 공습 나비효과 ··· 투자자도 외면하는 韓 온라인쇼핑 [나기자의 데이터로 세상읽기]중국 직구 1분기 성장률 54% 온라인쇼핑 성장률보다 5배 커 1·2위인 쿠팡·네이버 성장세에 중국 직구 ‘메기’ 역할 시작하자 11번가·SSG닷컴 등 위기 봉착 기업가치 하락하며 투자자와 분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해물질·저품질 논란 때문?...쿠팡족 늘고 알리·테무 줄었다4월 이커머스 국내 이용자 수 조사 쿠팡 3091만명...전달보다 1.3%↑ 알리 859만명·테무824만명 소폭 감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