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석탄은 이미 국제표준으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다.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신설되는 석탄 발전의 비중은 2006년에 46%를 차지했지만 2022년에는 11...
탈석탄은 이미 국제표준으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다.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신설되는 석탄 발전의 비중은 2006년에 46%를 차지했지만 2022년에는 11%로 대폭 축소되었다. 또한, 국제에너지기구의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는 석탄 발전에 대한 수요는 2030년 기준 18억t에서 2050년 기준 2억4000만t으로 줄어들게 된다.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실질적으로 석탄 발전은 빠르게 퇴출될 수밖에 없다는 의미이다.
유럽도 상황은 비슷하다. 2015년 기준으로 150GW가 넘던 석탄 발전 용량은 매년 5%에서 많게는 10%까지 줄어서 지금은 약 110GW 수준이 되었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2030년 기준으로 약 44GW까지 축소될 전망이다. 우리나라 정부가 항상 금과옥조로 여기는 일본의 사례도 참고할 만하다. 그동안 G7 국가 중에서 유일하게 탈석탄을 선언하지 않았던 일본은 올해 5월 개최된 에너지 장관 회의에서 2035년까지 탈석탄을 합의했다. 이제 탈석탄을 선언하고 이행하지 않는 선진국은 거의 우리나라가 유일한 셈이다. 석탄 발전의 약 20% 정도를 암모니아로 대체하겠다는 계획도 문제투성이다. 뉴스에 따르면, 암모니아를 섞어서 석탄 발전에서 태울 경우, 충남 지역에서만 석탄 발전 4기 분량의 미세먼지가 추가로 발생한다고 한다. 또한, 암모니아 혼소를 위한 추가 설비 투자 규모는 약 3조 원에 달한다고 하니, 배보다 배꼽이 큰 상황이다. 석탄 설비에 대한 신규 투자는 오히려 탈석탄을 앞당기는 것을 막고 발전소의 수명 연장을 위한 꼼수에 지나지 않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시대착오적인 전력정책-11차 전력계획[11차 전기본 톺아보기①]전국적으로 찌는 듯한 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7월 한 달간 전국 평균 열대야 일수는 8.8일로 이전 최고 기록이었던 1994년 8.5일보다 많았다. 30년 평균을 뜻하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제는 다른 계획이 필요하다-정의롭지도, 실현 가능하지도 않은 전력 계획[11차 전기본 톺아보기②]지난 5월 말,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전기본’) 실무안이 발표되었다. 2년마다 발표되는 전기본은 15년 동안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발전소 건설과 운영 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 오늘부터 여자할래”...한국도 性전환 ‘셀프 선언’시대 도래하나 [한중일 톺아보기][한중일 톺아보기-137]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독립분자는 사형”...트럼프 집권땐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 커진다는데 왜? [한중일 톺아보기][한중일 톺아보기-138]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어느 의혹 하나 소명 못해”…민주당, 이진숙 후보 ‘공직 부적합’ 사퇴 촉구‘사흘 청문회’ 이진숙 두고 與 “검증을 가장한 폭력” VS 野 “당장 사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산된 노병의 기도, 특검법 부결에 '윤석열 꼭두각시 한동훈''한동훈은 지금 당장 채상병 특검법을 발의하라!' '한동훈은 지금 당장 국민과의 약속을 이행하라!' 윤석열 대통령이 재차 거부한 '채상병 특검법(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을 국민의힘이 다시 부결시켰다. 이를 지켜보던 해병대 예비역들은 한동훈 신임 국민의힘 대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