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처법 흔들며 '자율' 외치는 정부... 이 참극을 멈춰라 중대재해처벌법 규제완화 환경운동연합 강홍구 기자
"노동자가 편의상 안전장치를 풀고 작업을 해. 그러다가 사고가 나버린다. 공장은 생각보다 넓고 일일이 다 통제할 수 없는 변수가 너무 많아. 그런데 CEO가 그것까지 다 책임져야 해. 중대재해기업 처벌법이 과연 문제를 해결하는 합리적인 해법일까?"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집권 이후 규제완화를 고집했다. 기업에 대한 형벌 규정을 완화하겠다고도 말했다. 중대재해법 개정을 우선과제로 언급하기도 했다. 이러한 방향성 아래 기재부의 용역보고서는 이렇게 결론을 내린다. 처벌이 아닌 예방을 위한 법을 만들겠다고 한다. 안전을 위한 투자를 비용으로 생각하고, 생산성이 안전보다 먼저였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도 말한다. 그런데 태산명동 서일필이다.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자고만 말하는 격이다. 두성산업은 2022년 10월에 위헌법률 심판제청을 신청했다. 이 업체에서는 16명의 노동자가 유해화학물질 독성중독에 빠지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이 사건이 헌법재판소로 가게 되면, 이를 이유로 비슷한 유형의 사건들이 당분간 올스톱될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정부는 자율이라는 글자에만 방점을 찍은 것 같다. 자율에는 책임이 따른다. 그저 방임해도 좋다는 뜻이 아니다. 취지를 이행하기 위해 제도를 보완하는 데 이견은 없다. 다만 제도 개선이라는 명분을 그대로 관철하려는 태도는 옳지 않다. CEO에 대한 처벌 조항이나 50인 이하 사업장에 대한 적용유예를 연장하는 게 입법 취지 실현에 어떤 도움이 될지 의문이 가시지 않는다. '만약에'라는 가정은 의미 없다지만, 중대재해법이 일찍 자리를 잡았다면 어땠을까 입맛이 씁쓸할 때가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가습기살균제 참사다. CMIT/MIT 원료로 제품을 판매한 SK케미칼와 애경산업, 이마트 등에게 적용된 법률은 업무상 과실치사상이다. 원심재판부는 2021년 초에 전부 무죄 판결을 통해 기업들의 손을 들어주었고, 항소심 재판에서도 전망이 밝지는 않다. 검찰은 여전히 인과관계 입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옥시RB 또한 신현우 전 사장을 비롯한 일부 인사들이 징역 6년을 선고받는 데 그쳤다.
여전히 매년 1000명에 가까운 사람이 목숨을 잃고 있다. 단지 일을 하러 간 사람들이었다. 위험은 외주화되었다. 원청은 자신의 책임이 없다고 한다. 중소기업의 이행여력이 없다는 말은 단골메뉴지만 이행을 끌어올릴 방법은 내놓지 않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노조의 중앙정부 보조금 사업, 5년간 실질적으론 감소?노조의 중앙정부 보조금 사업, 5년간 실질적으론 감소? 노조_회계장부 윤석열_대통령 민주노총 나라살림연구소 이경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윤석열 정부, 일본에 머리 조아려”…배상안 철회 요구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해법에 대해 “국가의 자존심 짓밟고 피해자의 상처를 두 번 헤집는 계묘늑약과 진배없다”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이 먼저 낸 '제3자 변제안'...당사자 문희상 입 열었다 | 중앙일보강제징용 피해자 배상안을 두고 정치권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r스팟인터뷰 문희상 민주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교통법 위반 ‘청소차 발판’ 없애달라”…진정서 낸 길주씨“환경미화원들이 작업발판을 이용하며 추락, 충돌 사고가 빈번하지만, 전국 자치단체장과 폐기물 수거 대행업체는 이를 방관하고 있다” 생활폐기물수거차 불법발판 🔽 진정서 내용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제동원 ‘3자 변제’ 후폭풍] ‘1원도 못 낸다’ 일본 논리 따르고도…사과는커녕 경제보복도 못 풀어일본 측은 “한국이 WTO(세계무역기구) 분쟁 해결 절차를 중단한다는 의사를 보여 정책대화를 재개할 환경이 조성됐다”고 했을 뿐 경제보복을 철회하겠다고는 약속하지 않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