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웅의 인물열전 -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 평전 13] 사건을 조작하기에는 '영양가'가 별로 없는 사건이었다
유신체제가 시작되면서 박정희 정권은 을 제정해 모든 집회에서 이를 낭송하게 했다. 1890년에 제정된 일본 천황제 이데올로기에 입각한 일제의 군국주의 교육 방침인 를 흉내 낸 것으로, 박종홍 서울대 철학 교수의 작품이다.
1978년 6월 27일, 명노근과 송기숙 등 전남대 교수 열한 명이 을 비판하는 를 발표했다. 이들은"민주주의 교육이 실행되지 않는 애국애족 교육은 진정한 안보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민주주의 실천이 결핍된 채 민주주의보다 반공을 앞세운 나라는 공산주의 앞에서 패배한 역사를 우리는 알고 있지 않는가?"라고 질책했다. 그 무렵 패망한 남부 베트남의 경우를 비유하는, 민주회복을 바라는 지극히 당연하고 온건한 내용이었다. 강만길은 이 사건으로 '남산'을 경험하게 된다. 독재자는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특수기관을 활용하는데, 박정희는 중앙정보부와 국군보안사령부를 활용했다. 이승만의 경찰과 특무대, 전두환의 하나회와 비견된다. 강만길의 등 저술 활동과 다산연구회 모임의 언행 등을 주시해 오던 정보기관의 촉수가 그를 놓치지 않았다. 강만길은 영문도 모른 채 남산으로 끌려갔다.
가서 보니 말로만 듣던 중앙정보부 남산분실의 지하 취조실이었다. 그러나 왜 끌려왔는지 전혀 짐작되지 않았다. 두터운 철문을 지나 지하실로 내려가서 들어간 회색빛 작은 방에는 철제 책상이 하나 놓여 있고 그것을 사이에 두고 취조받는 자와 취조하는 자의 의자가 하나씩 있을 뿐이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베스트 셀러가 된 |분단시대의 역사인식|[김삼웅의 인물열전 -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 평전 12] 화제가 되자 보수학계의 반발 나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분단시대' 이름 짓고 근현대사 연구[김삼웅의 인물열전 -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 평전 11] '작명가'의 작심을 직접 들어보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사 학위 논문 |조선 후기 상업자본의 발달|[김삼웅의 인물열전 -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 평전 10] 조선왕조 시대 피지배층에 학문적 관심을 갖게 되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교 사학과 전임 조교수로[김삼웅의 인물열전 -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 평전 9] "왜 무엇 때문에 역사를 연구하고 또 가르치는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장성애와 결혼, 국편 시절 고속 승진[김삼웅의 인물열전 -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 평전 8] 국편도 군사정권 시기가 되면서 분위기가 많이 바뀌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4·19의 현장에서[김삼웅의 인물열전 -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 평전 7] 4·19는 반독재 운동인 동시에 바로 평화적 민족통일운동으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