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무당층은 누구 편인가? 이충재_인사이트 이충재 기자
지지 정당이 없는 중도∙무당층 비율이 지난 대선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이들의 성향에 관심이 쏠립니다. 최근 여론조사에선 이들의 표심이 야권에 기울어져 있다는 결과가 잇따라 나와 정치권이 긴장하고 있습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결국 내년 총선에서 승패를 좌우하는 건 중도∙무당층 민심이라는 점에서 이들의 추이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합니다.
지난 5일 발표된 한국갤럽 조사에선 '총선에서 현 정부 견제를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 49%, '현 정부 지원을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 37%로 나타났습니다. '정부견제론'이 '정부지원론'을 앞선 겁니다. 눈길을 끈 건 중도층도 여당 승리보다는 야당 승리 쪽으로 쏠렸다는 점입니다. 현재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에서도 46%가 야당 승리를 원했고, 여당 승리는 24%에 그쳤습니다.한겨레가 의뢰해 글로벌리서치가 지난 4일 발표한 조사에서도 '정권 견제를 위해 야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이 '국정 안정을 위해 여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을 앞섰습니다. 그런데 이 조사에서도 중도·무당층의 마음은 야권에 좀 더 기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신의 이념 성향을 '중도'라고 밝힌 응답자의 52.
여론조사 기관들은 중도층과 무당층의 성향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지만 '정파적 입장이 상대적으로 약한 유권자'란 의미에서 유사한 여론층으로 분류합니다. 실제 여론조사 응답 내용을 분석하면 거의 비슷한 성향을 보인다고 합니다. 무당층은 정치 불신이 크고 당파성이 약해 지지할 정당을 찾지 못하는 유권자이지 정치 무관심층은 아니라는 얘깁니다. 따라서 선거에서 기권할 가능성이 있지만 막판에 덜 싫은 어느 한 쪽을 택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전문가들은 특히 무당층 가운데 이른바 MZ세대인 20·30대에서 증가 추세가 뚜렷하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갤럽 자료를 보면 대선 때인 2022년 3월 20대에서 무당층이 32%였지만 지난달엔 53%로 급증했습니다. 30대 무당층도 22%에서 36%로 크게 늘었습니다. 대선이 끝난 후 20대 남성은 국민의힘, 20대 여성은 민주당에 기대를 걸었지만 실망감을 느껴 이탈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한편 지난 총선 1년 전 여론조사는 실제와 거의 같았습니다. 21대 총선 1년 전인 2019년 4월 조사에서 47%가 정부지원론, 37%가 정부견제론에 동의했습니다. 이듬해 4월 치러진 총선에서는 당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났습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이번에도 유사한 양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올 들어 정당 지지도 변동은 주로 중도∙무당층에서 비롯하는데, 대통령 직무 평가나 여러 현안 여론을 기준으로 볼 때 이들의 생각이 여당보다 야당에 가깝게 나타나는 점을 근거로 듭니다. 하지만 진보진영에선 정권심판론이 높게 나오는 데도 민주당의 수혜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데 불안한 모습입니다. 앞의 갤럽 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35%, 민주당은 32%이었고, 글로벌리서치 조사에선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각각 34%와 32.7%로 엇비슷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결국 민주당이 얼마나 쇄신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지적합니다. 당장 전당대회 돈봉투 파문에 이어 터진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 보유 논란에 대한 통렬한 자성과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는 근절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덧붙이는 글 기사에 언급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 #이충재 인사이트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연세대 아카라카 티켓 뒷거래 가격 폭등...25만원까지 올랐다연세대 아카라카 티켓 뒷거래 가격 폭등...25만원까지 올랐다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작년엔 뉴진스, 올해는 누구?…연세대 아카라카 또 ‘25만원 암표’연세대 에브리타임(에타)에는 20일 열리는 연세대 응원단 주최 축제 ‘아카라카를 온누리에’ 표를 사고판다는 글이 수십개 올라왔습니다. 현재 표는 최대 25만 원까지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에 학교 쪽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의 왕이 아니다” 찰스 3세 대관식 반대한 이들은 누구?찰스 3세 영국 국왕의 대관식이 치러진 가운데, 현지 경찰이 군주제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인 시민 52명을 체포했습니다. 이들 중엔 군주제를 반대하는 단체 ‘리퍼블릭’의 대표 그레이엄 스미스와 회원 등도 포함됐습니다. ⬇️ 찰스 3세 대관식 반대한 이들은 누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왜 피하나[이충재의 인사이트] 언론을 시혜의 대상으로 보는 왜곡된 인식이 배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건희 여사, 검찰 출석 조사 받게 될까[이충재의 인사이트] 특검법 앞에 둔 검찰 내에서 직접 조사 목소리 나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