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드 인 차이나'가 이들 손에서 탄생했습니다.\r중국 농민공 인구감소
용어사전임주리의 영화로운 세계 국제 뉴스는 너무 먼 나라 이야기로 들리곤 합니다. 그러나 영화를 보면 낯선 땅의 사람들에게 금세 감정 이입이 되죠. 영화를 통해 더이상 ‘먼 나라’가 아닌 우리의 이야기로 국제 뉴스를 전합니다.친구가 죽었습니다. 험한 공사판에서 유일하게 위로가 됐던 이가 술 마시다 죽고 말았습니다. 누추한 차림의 중년 남자 라오자오는 빨리 장례를 치르자는 주변의 말에도 굳이 시체를 끌고 먼 길을 나섭니다. 죽으면 꼭 고향에 데려다 달라는 친구에게 의리를 지켜야 한다나. 그렇게 시체와의 여행이 시작됩니다. 누가 봐도 빈털터리에 어리숙해 보이는 이 남자. 약속을 지킬 수 있을까요?영화 ‘낙엽귀근’의 주인공 라오자오는 전형적인 중국의 농민공입니다. 중국에선 농촌을 떠나 도시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일컬어 ‘농민공’이라 하는데요. 주로 건설ㆍ제조업 등 육체노동에 종사합니다.
그러나 농민공의 삶은 열악합니다. 중국 관련 보도나 대중매체에 종종 등장하는 ‘빈곤한 노동자’를 떠올려 보세요. 라오자오가 그 중 한 명이고요. 그런데 요즘 중국 정부가 이들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습니다. 얼마 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정부가 농민공에 ‘도시 후커우’를 더 많이 발급해주고 복지 혜택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는데요. 그게 대체 뭐기에 큰 선심 쓰듯 준다는 걸까요?도시화ㆍ산업화가 진행되는 시기에 농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몰려드는 것은 어느 국가에나 있는 현상입니다. 그런데 중국에서만 왜 특별히 ‘농민공’이라 부르느냐. 이들을 대하는 중국 정부의 방침이 다소 특별하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1950년대부터 출생지에 따라 '후커우'를 발급해 거주 이전의 자유를 제한했는데요, 개방 이후 경제 성장에 박차를 가하면서도 이를 유지합니다. 농민들이 마구잡이로 몰려와 농촌이 텅 비고 도시는 과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도시민과 농민을 엄격히 구분한 거죠.
영화 속 라오자오는 속된 말로 ‘호구’ 중의 호구입니다. 같은 농민공들에게 차비를 빼앗기고, 위기에 처한 이를 도와줬다가 뒤통수를 맞는 등 온갖 산전수전을 겪죠. 탈탈 털린 그는 어쩔 수 없이 죽은 친구 몫으로 나온 위로금으로 밥값을 내려 하는데요. 식당 사장에게 흠씬 두들겨 맞고 나서야 알게 됩니다. 그 돈, 위조지폐였다는 걸요. 중국 사회의 농민공이 어떤 위치인지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들입니다.그러던 중국 정부가 태도를 바꾼 건 인구가 쪼그라드는 데다 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 성장이 시급하기 때문입니다. 지난달 발표에 따르면 중국에선 61년 만에 처음으로 인구가 감소했는데요. 사람은 줄어드는데 경제 성장의 엔진인 제조업 기업들에서 일손이 부족하다고 아우성을 치자 농민공에 주는 혜택을 부랴부랴 늘리기로 한 겁니다. SCMP는 “정부가 추진하려는 정책은 인구 감소와 그로 인한 경제 위기에 강력한 해결책이 된다”고 진단했죠.
그러나 농민공의 삶이 곧바로 개선되기는 힘들 것이란 게 외신의 분석입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최근 보도에서 “농민공들은 임금이 연체돼 정당한 불만을 제기해도 탄압받기 일쑤”라고 전했습니다. 그 때문에 후커우 제도가 점차 완화되는 추세임에도 이 제도를 아예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후커우 제도가 있기에 농민공들이 ‘돌아갈 곳’이 있어 중국 사회 성장을 안전하게 뒷받침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만, 그들의 삶이 열악하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니까요. “제조업 현장에 농민공이 부족한 건 MZ세대 농민공들이 열악한 노동조건을 거부하고 배달 등 서비스업으로 빠져나간 탓”이란 분석도 이런 현실의 단면입니다.중국의 유명 감독 장양은 ‘낙엽귀근’을 유쾌한 코미디로 풀어냅니다. 중국 정부가 농민공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다룬 영화들을 검열ㆍ탄압해왔기 때문인데요. 코미디라지만, 영화를 볼수록 웃기기보다는 애잔합니다. 다행스럽게도 뒤통수만 맞던 라오자오는 귀인들도 만납니다.
‘낙엽귀근’은 잎이 떨어져 뿌리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결국은 자기가 본래 났거나 자랐던 곳으로 돌아간다는 의미입니다. 영화는 고향 말고는 기댈 곳이 없는 농민공의 처지를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르죠. 하지만 새로운 정책들이 제대로 실행된다면, 이들은 꼭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아도 새로운 터전에서 좀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지 모릅니다.그래서 우리랑 무슨 상관이냐고요? 중국의 인구 문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한국 기업들 역시 중국의 농민공 부족과 계속해서 상승하는 임금, 노동자 권리 향상에 발맞춰 대비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분석을 내놓았죠. 우리 역시 유심히 지켜봐야 하는 이유입니다.용어사전영화 '낙엽귀근' '중국의 찰리 채플린'이라 불리는 배우 자오번산이 주인공을 맡은 작품. 장양 감독이 연출해 2007년 내놨다. 하와이국제영화제, 벤쿠버국제영화제 등 각종 영화제에서 주요상 후보에 올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잔해 속 머리만 내민 개…동물들도 기다리는 '구조의 기적' | 중앙일보구조대원이 건네준 물을 허겁지겁 받아마셨습니다.\r튀르키예 동물 구조 기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술도 안 먹는데 당황스럽다…젊은 여성 지방간 더 위험한 이유 | 중앙일보술을 전혀 마시지 않아도 지방간에 걸릴 수 있습니다.\r지방간 여성 건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첫 경험 전에 맞아야 좋은 HPV 백신…남자도 꼭 맞아야 하는 이유 | 중앙일보헷갈리기 쉬운 HPV 백신 접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rHPV 백신 유두종바이러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이폰 공장인 줄'…26층 빌딩서 수십만 마리 돼지 키우는 중국 | 중앙일보중국은 세계 돼지고기의 50%를 소비해 돼지고기 가격이 곧 생활 물가의 척도입니다.\r중국 돼지 빌딩 사육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한국 비자문의 빗발‥중국 정부도 비자 재개 적극 검토우리의 비자 발급 재개 소식이 알려지자, 중국에서는 한국 관광 비자 신청에 대한 문의가 쇄도했습니다. 중국 정부도 한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을 재개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