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수달, 수은 중독이었다…청정 지역 북한강 상류 충격 진실 | 중앙일보

대한민국 뉴스 뉴스

죽은 수달, 수은 중독이었다…청정 지역 북한강 상류 충격 진실 | 중앙일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65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9%
  • Publisher: 53%

몸길이 41㎝의 어린 개체. 한쪽으로만 빙글빙글 도는 이상 행동을 보였습니다.\r수달 북한강

북한강 상류에서 구조된 지 4일 만에 죽은 수달의 사인이 수은 중독이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천 생태계 먹이사슬의 꼭대기에 있는 수달이 중금속 피해에 노출된 만큼 주변 환경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9일 학술지 생태와 환경 최신호에 실린 '유라시안 수달의 수은 중독’ 논문에 따르면, 지난해 2월 강원 화천군 북한강 상류에서 수달 한 마리가 구조됐다. 몸길이 41㎝의 어린 개체였다. 구조 당시 수달은 탈수와 탈진, 심각한 무기력 증상을 보였다. 한쪽으로만 빙글빙글 도는 이상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치료에도 불구하고 수달의 상태는 회복되지 않았고, 결국 구조한 지 4일 만에 폐사했다.연구진은 사인을 밝히기 위해 수달의 사체를 부검했다. 그 결과, 여러 장기에서 수은 독성으로 인한 광범위한 혈관 손상과 간세포 괴사 등이 발견됐다. 신장과 모발에서도 높은 농도의 수은이 검출됐다. 연구진은 “증상과 진단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수달의 폐사는 수은 중독에 의한 폐사로 밝혀졌다”고 결론 내렸다. 또, “간 내 수은 농도는 최저 영향 수준을 초과하지 않았다”면서도 “낮은 농도라도 장기간 축적되면 신경병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귀여운 외모와 달리 하천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다. 물고기뿐 아니라 오리 같은 조류까지 사냥한다. 이 때문에 상위 포식자로 갈수록 더 높은 농도로 축적되는 중금속 오염에 가장 취약하다. 한성용 한국수달연구센터장은 “수은은 반감기가 길어서 작은 생물부터 최상위 포식자까지 먹이사슬을 따라 농축되는 현상이 일어난다”며 “수달은 먹이사슬의 정점에 있기 때문에 수은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죽은 수달이 발견된 곳은 한강으로 이어지는 북한강 상류 지역이다. 강을 더 거슬러 가면 파로호로 이어진다. 파로호는 어장이 풍부하고 청정한 곳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국내의 호수·강 중에서도 수은 오염이 가장 심각한 곳으로 꼽힌다.

환경부의 ‘국가 수은 통합측정망 시범사업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파로호 퇴적물의 총수은 농도는 ㎏당 평균 212㎍으로 조사됐다. 하류인 팔당호의 평균치보다 5배 이상 높았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퇴적물의 수은 농도가 100㎍/㎏을 넘으면 호수 바닥에 사는 생물이 해를 입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특히 평화의 댐 북쪽이 수은 오염도가 가장 심각했다. 이에 조사팀은 평화의 댐 상류, 즉 북한 지역에 잠재적 오염원이 있으며 여기서 배출된 수은이 지속해서 파로호로 유입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 용역을 맡은 이종현 EH R&C의 환경보건안전연구소장은 “상류에 있는 북한 폐광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오염 물질이 강을 따라 남쪽으로 흘러내려 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수달의 서식지 주변이 개발되면서 중금속 오염에 노출됐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구조 나흘만에 무기력해하다 숨진 수달…사인은 '수은 중독' | 연합뉴스구조 나흘만에 무기력해하다 숨진 수달…사인은 '수은 중독'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홍준석 기자=작년 2월 강원 화천군에서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수달 한 마리가 구조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미애 전 충북도의원 별세 '사회적약자와 함께했던 분'최미애 전 충북도의원 별세 '사회적약자와 함께했던 분'최미애 전 충북도의원 별세 '사회적약자와 함께했던 분' 충북인뉴스 충북인뉴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용진, 지역 '개딸'에게 '국힘 가라' 비난받아... 대화도 거부당해박용진, 지역 '개딸'에게 '국힘 가라' 비난받아... 대화도 거부당해박용진, 지역 '개딸'에게 '국힘 가라' 비난받아... 대화도 거부당해 박용진 개딸 수박 더불어민주당 곽우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펫로스 클럽: 전국 죽은 개 자랑 [반려인의 오후]펫로스 클럽: 전국 죽은 개 자랑 [반려인의 오후]요즘 일주일에 한 번씩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해보고 있다. 제목은 ‘펫로스 클럽: 전국 죽은 개 자랑’이라고 붙였다. 반려동물을 떠나보낸 슬픔과 그리움을 여러 사람과 나누고 서로 위로하자는 취지인데, 라디오에 사연을 보내는 것처럼 사람들이 내게 메일을 보내오면 그걸 라이브 방송에서 낭독한다. 편의상 제목에는 ‘개’만 썼지만 물론 개 말고도 고양이, 토끼, 햄스터, 이구아나, 금붕어, 말, 앵무새, 소, 닭, 돼지, 오리, 족제비 등 어떤 동물이든지 사랑하고 사랑받는 가족으로 살다가 떠난 존재에 관한 이야기라면 대환영이다.식순은 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페트병 생수에 나노플라스틱 가득, ㎖당 1억개'...충격 연구 결과'페트병 생수에 나노플라스틱 가득, ㎖당 1억개'...충격 연구 결과생수병에서 ㎖당 1억 개가 넘는 나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나노플라스틱은 지름이 1㎛(마이크로미터, 1000분의 1㎜)보다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뜻한다.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과 중국 난카이 대학, 벨기에 헨트 대학 등으로 구성된 국제연구팀은 노르웨이 시중에서 유통되는 4개 브랜드 페트병 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브스夜] '그알' 캄보디아 병원에서 일어난 '한국인들의 의문사'…서세원 사망 사건 '진실 추적'[스브스夜] '그알' 캄보디아 병원에서 일어난 '한국인들의 의문사'…서세원 사망 사건 '진실 추적'캄보디아 미래 병원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났나. 27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는 '회장님의 수상한 병원 - 서세원 사망 사건의 진실'이라는 부제로 서세원 사망 사건을 둘러싼 의혹들을 추적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7 11:1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