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린슨 루시드 CEO, 성과급 비중 높아 “리더십 보상 성과 미연결 회사 조심해야”
“리더십 보상 성과 미연결 회사 조심해야” 미국의 전기차 기업 테슬라의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가 동종업체인 루시드 그룹의 고연봉 체제를 간접적으로 비판했다.
5일 미국 투자전문매체 배런스에 따르면 머스크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리더십 보상이 성과와 연결되지 않는 회사를 조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월가는 해당 트윗이 루시드를 저격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앞서 오토모티브뉴스는 지난해 최고 연봉 자동차 제조업체 CEO 목록을 공개했는데, 루시드의 CEO인 피터 롤린슨이 상위권을 차지한 바 있다. 롤린슨은 지난 3년 동안 약 5억6700만달러의 돈을 받았다. 연평균 보수는 1억8900만달러에 달한다. 보수 비중을 살펴보면, 기본급 대비 성과급 스톡옵션 비중이 6배 이상이다. 물론 머스크의 연봉은 더 높다. 지난 3년간 머스크의 총보수는 약 7억3400만달러다. 연간 2억4500만달러를 벌어들인 셈인데, 이는 테슬라 주가가 5년 동안 1300% 이상 상승하는 등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뤄내며 주식 보상 등을 받았기 때문이다. 테슬라의 2018년 매출액은 210억달러였는데, 올해엔 1000억달러로 예상된다.루시드 측은 월가의 머스크 트윗에 대한 입장 문의에 응답하지 않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다영, 또 김연경 저격 '성희롱·갑질 인정하고 사과하라'여자배구 국가대표팀 선배인 김연경에 대한 일방적 폭로를 이어가고 있는 이다영이 성희롱, 갑질 행위를 인정하라고 주장하며 공식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다영은 5일 인스타그램에 '대표팀에서 반복적으로 했던 성희롱, 흥국생명에서 했던 왕따, 직장폭력, 갑질 행위를 인정하고 공식적으로 사과문을 올리면 가장 숨기고 싶어하는 그것만은 영원히 비밀로 해주겠다'는 글과 함께 김연경과 찍은 사진을 게시했다. 이다영은 매뉴얼을 공유하면서 '2018년 선수촌, 2019년 월드컵 일본'이라는 짤막한 글을 올렸는데, 이다영은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과 2019년 일본에서 열린 FIVB(국제배구연맹) 여자배구 월드컵에 김연경과 함께 태극마크를 달고 출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루다, 지분 인수 계약 체결에 주가 7%대↓에스테틱 의료기기 업체 클래시스가 이루다 2대주주에 올라서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양 측의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5일 오전 10시51분 기준 코스닥 시장에서 클래시스는 전일 대비 1450원(3.75%) 하락한 3만7250원에 거래됐다. 장 개장 직후에는 4만500원까지 반등했다가 낙폭이 커졌다. 최대주주가 지분을 매각한 이루다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차 반응 좋았는데 떨어진 테슬라 주가... ‘이것’ 때문이라는데지난 1일(이하 현지시간) 테슬라 주가가 5%대 급락한 이유에 대해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FSD) 가격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 배런스는 테슬라 주가가 하락한 원인이 FSD 가격을 1만5000달러에서 1만2000달러로 인하했기 때문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FSD는 테슬라의 운전 지원 소프트웨어다. 조지 지아나리카스 캐너코드 연구원은 “FSD 가격을 낮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트코인보다 더 오른 코인베이스, 주가 '경고음'올해 예상 매출의 7배 반영'밈 주식 성격 커 유의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머스크 “美서 ‘엑스’ 매출 60% 감소…비영리단체 ADL 탓”4일(현지시간) 머스크는 자신의 X 계정에 구체적인 비교 시점은 밝히지 않으면서 미국에서의 광고 매출이 여전히 60% 감소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자신이 지난해 트위터를 인수한 이후 ADL이 트위터와 자신을 '반유대주의자라고 거짓으로 비난하면서 플랫폼을 ‘죽이려’ 해왔다'며 '비난이 계속되면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했다. 머스크는 다른 게시물에서는 'X가 생존을 위해 미국 광고 매출을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필요는 없지만 그 수치가 다시 회복되는 것을 보는 것은 좋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반기 랠리 후 8월 2% 하락... 가을 코스피 방향은?[강인선의 자본추]7월까지 랠리를 펼치던 국내 증시가 8월 약보합세를 보이면서 9월 증시에도 이같은 흐름이 유지될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9월에도 증시가 크게 상승하기는 어렵지만 ‘관망’보다는 ‘매수’로 대응하기를 조언하고 있습니다. 8월 주가 하락으로 코스피 가격이 저렴해졌기 때문에 바닥을 다졌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대신 주가가 빨리 오를 수 있는 모멘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