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박 조코비치(세계랭킹 7위·세르비아)가 메이저 대회 단식 최다 경기 출전 신기록을 세우며 2025 호주오픈 테니스 대회 3회전(32강전)에 진출했다. 조코비치는 15일(한국시간)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대회 남자 단식 2회전(64강전)에서 자임 파리아(125위·포르투갈)를 3-1(6-1 6-7〈4-7〉 6-3 6-2)로 물리쳤다. 프로 선수들의 메이저 대회 출전이 허용된 1968년 이후 최고령 메이저 대회 단식 우승자가 된다.
노박 조코비치 가 메이저 대회 단식 최다 경기 출전 신기록을 세우며 2025 호주오픈 테니스 대회 3회전에 진출했다. 3회전 상대는 토마시 마하치다.
조코비치는 15일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대회 남자 단식 2회전에서 자임 파리아를 3-1로 물리쳤다. 이로써 조코비치는 사상 처음으로 메이저 단식 통산 전적에서 430경기 고지를 밟았다. 이날 경기 전까지 그는 은퇴한 '테니스 황제' 로저 페더러와 나란히 428경기를 뛰어 이 부문 공동 1위였다. 조코비치는 이번 승리로 379승 51패를 기록했다. 승률 88.1%다. 페더러는 429전 369승 60패로 승률은 86%였다. 조코비치는"메이저 대회는 우리 종목의 기둥과 같은 존재다. 오늘 그런 대회와 관련된 기록을 세워 정말 기쁘게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신기록을 세우고 3회전에 진출한 조코비치는 앞선 라운드에서 보였던 부진을 털어냈다. 그는 한 수 아래 선수에게 고전했다. 1회전에서 니세시 바사바레디에게 3-1 역전승을 거두는 등 1, 2회전 모두 100위권 밖의 선수들에게 한 세트씩 내주며 불안한 출발을 했다.
조코비치는 이번 대회에서 대기록에 도전한다. 그가 우승할 경우 25번째 메이저 단식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이 부문 단독 선두에 오른다. 프로 선수들의 메이저 대회 출전이 허용된 1968년 이후 최고령 메이저 대회 단식 우승자가 된다. 현재 이 부문 기록은 1972년 호주오픈에서 우승한 켄 로즈월의 37세 62일이다. 조코비치가 이번에 우승하면 이 기록은 37세 249일로 늘어난다. 또 조코비치는 남자프로테니스 투어 이상급 대회 99회 우승을 기록 중이다. 100회 우승은 109회의 지미 코너스와 103회의 페더러가 달성했다. 조코비치와 우승을 다툴 카를로스 알카라스도 순항 중이다. 알카라스는 니시오카 요시히토를 3-0으로 완파하고 3회전에 안착했다. 알카라스는 누누 보르헤스와 16강 진출을 다툰다. 알카라스는 계속 승리할 경우 8강에서 조코비치와 맞붙는다.
호주오픈 조코비치 호주오픈 호주오픈 테니스 3회전 진출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호주오픈 테니스 12일 개막…조코비치, 메이저 25승 신기록 도전지난해 이 대회 4강에서 조코비치를 꺾고 우승한 신네르는 대회 2연패에 도전하고, 알카라스는 4대 메이저 대회 가운데 호주오픈에서만 우승이 없다. 만일 알카라스가 이번 대회에서 우승하면 프로 선수들의 메이저 대회 출전이 허용된 1968년 이후 남자 선수로는 역대 최연소 커리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게 된다. 여자 선수로 범위를 넓히면 만 19세에 4대 메이저를 휩쓴 슈테피 그라프(은퇴·독일)가 있고, 세리나 윌리엄스(은퇴·미국)도 만 21세에 4대 메이저 우승컵을 모두 모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휠라, 테니스 클럽 대항전 '2025 휠라 클럽 매치' 개최휠라코리아는 테니스 전설 비에른 보리의 끈기를 기념하는 '2025 휠라 클럽 매치' 개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고 테니스 라켓으로 시작한 인생 변화새로운 시작을 결심한 사람이 테니스 레슨을 통해 단순한 운동에서 삶의 교훈을 얻는 이야기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멕시코 韓기업 '투자, 올스톱'트럼프 25% 관세 폭탄 예고에테슬라·中BYD도 진출 백지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역 스타트업, CES 혁신상 통해 글로벌 무대 노려광주, 포항, 대전·세종 지역 스타트업들이 CES 혁신상을 수상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 및 투자 유치 가속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네이버, 사우디에 꽂힌 채선주 대표 - 'IT 기술 + 중동 수출' 신화 창조네이버 대외·ESG 정책 대표 채선주를 중심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시장 진출 성공 사례를 다루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