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응답자 중 94.59% 참여, 찬성 778명 부족... 도교육청 "교육력 높아질 수 있도록 지원"
25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충청지방행정발전연구원에 위탁·의뢰해 실시한 이번 여론조사에는 조사 대상자 6981명 중 6603명이 참여했다. 이중 찬성 응답자는 3646명, 반대 응답자는 2835명으로 나타났다. 무효표는 122명이다.
평준화 요건은 '충청북도교육감의 고등학교 입학전형 실시 지역 지정 및 해제에 관한 조례'에 따라 찬성이 응답자의 3분의 2이상이 되어야 한다. 제천지역이 고교평준화가 되기 위해선 응답자의 3분의 2, 즉 4424명이 찬성 응답을 해야 한다. 고교평준화가 되기 위해선 778명이 부족한 셈이다. 오영록 교육국장은"이번 여론조사에서 찬성, 반대 양측의 의견이 나누어질 수밖에 없었지만, 이제는 우리 교육 가족 모두가 한 마음으로 제천 교육 발전을 위해 지원해야 한다"며"제천의 교육력이 더욱 높아질 수 있도록 제천 교육 가족들과 더욱 소통하며 지속가능한 정책 개선과 발굴에 매진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제천이 일반고 평준화지역에서 제외됨에 따라 충북에서 평준화제도를 실시하는 지역은 청주시, 충주시, 맹동면·덕산면 혁신도시 등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북인뉴스에도 실렸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000억 줘도 통합 싫어'…충북대 학생들이 유독 반대 거센 이유15곳 중에 대학간 통합을 전제로 한 '공동형' 대학은 강원대·강릉원주대, 부산대·부산교대, 안동대·경북도립대, 충북대·한국교통대 4곳이다. 앞서 두 대학의 통합 과정에서 교통대 총학생회가 '졸업장에 충북대가 아닌 새로운 통합교명이 기재될 수 있게 하겠다'고 나서면서 충북대 학생들의 반발이 커졌다. 한 지역 대학 관계자는 '어려운 대학들은 글로컬대학 사업과 상관없이 생존을 위한 통합 논의를 해왔다'며 '사업에 선정되기 위해 통합 논의를 시작한 곳은 한두 달 만에 결론을 내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미동맹 넓혀야' 이 제안에...보수 86%, 진보 80% 찬성했다 [창간기획-한·미동맹70년]‘한·미 동맹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대응을 넘어 지역 및 세계 문제 해결에 역할을 하는 동맹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응답자는 81.8%로 반대(18.2%)를 크게 앞섰다. 한·미 동맹이 ‘한국의 경제 발전에 도움을 줬다’는 응답자가 87.0%,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도움을 줬다’는 응답은 86.3%였다. 한·미 동맹의 영역 확장에 대해서는 80% 이상이 찬성하면서, 개별 현안별로는 다른 태도를 보이는 데 대해 EAI 측은 '대다수의 한국인은 한·미 동맹의 범위 확대를 원칙적으로 찬성하고 있다'며 '단, 이런 선택이 야기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선 개별적으로 따져보는 게 필요하다고 여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4일간의 단식 끝낸 이재명에게 남은 숙제 [사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간의 단식 투쟁을 마무리했다.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의 23일보다 긴 단식이었지만, 소득은 없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민생 파괴·민주주의 훼손에 대한 사죄, 일본 핵 오염수 방류 반대, 국정 쇄신과 개각 등 이 대표 요구에 정부는 어떤 응답도 하지 않았다. 국회의 체포동의안 가결로 방탄 목적도 달성하지 못했다. 이 대표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루 전 '부결' 호소, 악수됐나... 이재명 체포동의안 가결출석 295명 중 찬성 149명 반대 136명 기권 6명 무효 4명... 민주당 29명 가결 던진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