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LCC 이용률 하락 우려 나고 있습니다.
국내 도입 B737-800 총 101대 B737 맥스 시리즈와 사고이력 다수 이 중 99대를 LCC 들이 운용 중 제주항공 도 41대 중 39대가 해당 오후 2시 기자회견도 열었으나 김 대표 사과문 ‘3분 낭독’ 그쳐 보잉, 사고 관련해 애도문 발표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국내 저비용항공사( LCC )에서 처음으로 인명 피해를 동반하며 발생한 항공 사고다. 사고가 난 편명 7C2216의 항공기 기종은 보잉의 B737-800 이다. 2009년 제작한 기령 15년의 항공기 로 제주항공 이 2017년부터 임차해 사용하고 있다. B737-800 은 중단거리 비행에 주로 투입하는 항공기 로 가운데 복도를 두고 좌우에 좌석을 3개씩 장착한 구조다. B737-800 은 국내에선 LCC 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체다. 29일 항공기 술정보시스템(ATIS)에 따르면 국내 항공사들이 도입한 B737-800 은 총 101대다. 이 중 대한항공이 보유한 2대를 제외하고 나머지 99대를 국내 LCC 들이 운용한다.
제주항공도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B737-800을 주력 항공기로 사용한다. ATIS는 지난해 기준 제주항공이 보유한 항공기 41대 중 39대가 B737-800이라고 집계했다. 나머지 2대는 B737-8(B737 맥스8)이다. 제주항공이 보유한 B737-800과 B737 맥스 시리즈는 모두 최근 사고가 발생했던 기종이다. 올해 3월 미국 피닉스로 향하던 알래스카항공 B737-800 객실에서 연기가 감지돼 여객기가 포틀랜드공항으로 돌아간 사례가 있다. 이 여객기는 이번 제주항공 사고 기종과 같다. 같은 달 미 텍사스주 휴스턴국제공항에서 유나이티드항공의 B737 맥스8 기종이 착륙해 활주로를 주행하던 중 포장된 도로를 이탈하기도 했다. 지난 1월에는 B737 맥스9가 미 오리건주 포틀랜드국제공항을 이륙한 뒤 비행 중 창문과 벽체 일부가 뜯겨나가 비상착륙을 하기도 했다.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의 예비조사 결과 비행기 조립 때 문을 고정하는 볼트 4개가 누락된 것으로 파악됐다. 일각에선 이번 사고가 향후 LCC의 이용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제주항공 사고 기종인 B737-800과 과거 사고 이력이 많았던 B737 맥스 시리즈를 많은 LCC가 주력 항공기로 사용하고 있어서다. 최근 보잉 항공기에서 사고가 많은데, 제주항공을 비롯한 국내 LCC들이 보잉에 의존도가 매우 높다. ATIS에 따르면 LCC 가운데 제주항공(41대)이 항공기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고, 이어 티웨이항공(38대), 진에어(31대), 에어부산(21대), 이스타항공(15대) 순이다. 대부분 항공기는 B737-800과 B737 맥스8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티웨이항공은 B737-800 27대, B737 맥스8 2대를 운용하고, 진에어는 각각 19대와 5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스타항공도 각각 10대와 5대를 운용한다. 단 에어부산은 현재 에어버스의 A321-200, A321-200 네오 등을 보유하고 있고 보잉의 항공기는 없다. 즉 에어부산을 제외한 LCC들의 B737-800과 B737 맥스8 의존도는 제주항공 100%, 티웨이항공 76%, 진에어 77%, 이스타항공 100%로 매우 높다. 제주항공은 이날 오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구체적인 수습책에 대한 언급 없이 3분 남짓한 사과문을 읽는 데 그쳤다. 임원 5명과 함께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이배 대표는 오후 2시 2분에 도착해 사과문을 낭독한 뒤 취재진을 뿌리치고 오후 2시 13분께 현장을 빠져나갔다. 김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탑승객분들과 유가족분들께 깊은 애도와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며 “현재로서는 사고 원인은 가늠하기 어렵고, 관련 정부 기관의 공식적인 조사 발표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고 이후 사고대책 본부가 구성돼 대응하고 있다”며 “빠른 사고 수습과 탑승자 가족 지원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더불어 정부와 함께 사고 원인 규명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제주항공 B737-800 사고, LCC 이용률 암울한 전망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국내 저비용항공(LCC) 이용률 저하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남 무안공항 추락 사고, 수십명 사망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탑승객 181명을 태운 여객기가 착륙 중 추락하여 수십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사고 항공기는 제주항공 7C2216편 항공기로, 기종은 B737-800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외신 주목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 외신들도 주목하며 사고 원인 규명에 주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주항공 여객기 무안 착륙 과정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당시, 조종사는 활주로 반대 방향에서 착륙 시도하여 사고 발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창사 이래 최대 위기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로 인해 국내 LCC 업계 최초의 대형 참사 발생, 제주항공은 탑승자 가족 지원 및 사고 원인 조사 협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 여객기 사고 목격자 '날개서 불꽃, 큰 소리' 기록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목격자는 착륙 전 날개에서 불꽃을 발견하고 큰 폭발음을 들었다고 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