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사고 보도, 기레기 논란

사회 뉴스

제주항공 사고 보도, 기레기 논란
제주항공사고언론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71 sec. here
  • 8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9%
  • Publisher: 51%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현장에서 기자들의 지나친 취재 경쟁과 감정적인 보도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179명이 숨지고 2명이 다치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습니다. 사고 직후 언론에선 속보를 내보내는 등 앞다퉈 관련 소식을 전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지나친 취재 경쟁을 벌이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합니다. 현장 유튜브 영상 등에 따르면, 유가족으로 추정되는 한 남성은 기자들 앞에서'따로 기자 방을 만들어 달라고 건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유가족을) 부추기지 말아 달라'면서'감정을 억누르고 있는데 몇 시에 탔느냐 어떻게 알고 왔느냐 질문하지 말아라'고 요구했습니다. 이어'정중하게 부탁드린다'면서'(유가족들은) 임계점이 와 있다. 폭발하기 일보 직전이다. 감정을 억누르고 참고 있다. 최대한 질서 정연하게 있는데 옆에서 자꾸 자극하지 말아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독립저널리스트 미디어몽구도 자신의 페이스북에'기자들 너무 하다. 휴일이라 다들 수습을 현장에 보냈는지... 눈치도 없고 분위기 파악도 못한다'면서'카메라를 함부로 들이 내밀지 않나...

가족들 궁금해하는 게 많을 텐데... 기자들이 먼저 관계자들에게 질문을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세월호 참사 때 그렇게 불신받았으면 개선되어야 하는데 언론은 변한 게 하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직 조종사...'모든 기사는 확인 된 것 외에는 무시하라' 29일 는'속도 제어 못한 '동체 착륙', 짧은 활주도 등이 사고 키운 듯'이라는 제목으로 무안공항 활주로의 길이가 짧아 사고가 발생했다는 추측성 기사를 내보냈습니다. 불과 일 년 전인 2023년 12월 23일 는'고추 말리는 공항 오명에도 100억원 들여 활주로 연장'이라며'(무안)공항에선 지난해부터 약 500억 원을 투입해 2800m 길이 활주로를 3160m짜리로 연장하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누리꾼들은 지난해와 29일 의 보도 내용을 비교하며 사고의 원인을 왜곡보도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현직 조종사도 자신의 페이스북에'무안공항 활주로가 인천,김포, 제주공항보다 짧지만 나머지 국내공항들보다는 조금 더 길다'면서'B-737/A-320 계열 항공기들에게 9000피트는 짧은 활주로가 아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모든 기사는 확인된 것 이외에는 무시하라'며'지금 나오는 대부분의 언론 속보 기사들은 쓰레기이다. 추측하지 말라'고 꼬집었습니다. 한편, 는 29일 오후 12시 31분'무안공항 폭발 제주항공기 승객 175명 전원 명단'이라는 제목의 기사에 항공기에 탑승한 승객 175명의 영문 이름과 성별, 출생년도, 국적 등을 그대로 노출한 채 보도했다가 삭제했습니다. 재난보도 준칙만 지켜도 되는데... 듣지 않는다 세월호 참사 이후 기자와 쓰레기를 합성한 '기레기'라는 말이 당연하듯 사용됩니다. 그만큼 언론에 대한 신뢰가 바닥에 추락했다는 의미입니다. 사실 기레기라는 말을 듣지 않도록 대한민국 기자들은 자체적으로 '재난보도 준칙'을 정해 놓았습니다. 제7조(비윤리적 취재 금지) 취재를 할 때는 신분을 밝혀야 한다. 신분 사칭이나 비밀 촬영 및 녹음 등 비윤리적인 수단과 방법을 통한 취재는 하지 않는다. 제10조(무리한 보도 경쟁 자제) 언론사와 제작책임자는 속보 경쟁에 치우쳐 현장기자에게 무리한 취재나 제작을 요구함으로써 정확성을 소홀히 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 제14조(단편적인 정보의 보도) 사건 사고의 전체상이 파악되지 않은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단편적이고 단락적인 정보를 보도할 때는 부족하거나 더 확인돼야 할 사실이 무엇인지를 함께 언급함으로써 독자나 시청자가 정보의 한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제15조(선정적 보도 지양) 피해자 가족의 오열 등 과도한 감정 표현, 부적절한 신체 노출, 재난 상황의 본질과 관련이 없는 흥미위주의 보도 등은 하지 않는다. 자극적인 장면의 단순 반복 보도는 지양한다. 불필요한 반발이나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지나친 근접 취재도 자제한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제주항공 사고 언론 취재 재난보도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외신 주목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외신 주목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 외신들도 주목하며 사고 원인 규명에 주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주항공 여객기 무안 착륙 과정제주항공 여객기 무안 착륙 과정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당시, 조종사는 활주로 반대 방향에서 착륙 시도하여 사고 발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 여객기 사고 목격자 '날개서 불꽃, 큰 소리' 기록무안 여객기 사고 목격자 '날개서 불꽃, 큰 소리' 기록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목격자는 착륙 전 날개에서 불꽃을 발견하고 큰 폭발음을 들었다고 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항공기 사고, 사망자 80명무안공항 항공기 사고, 사망자 80명제주항공 7C2216편 항공기 착륙 중 사고 발생, 80명 사망, 99명 실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야 '사고 수습 우선', 무안 참사에 한목소리여야 '사고 수습 우선', 무안 참사에 한목소리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여야는 사고 수습을 우선시하며 정쟁 자제를 촉구하고 긴급 대응에 나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 48시간 13차례 운항, 체류시간 단축 논란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 48시간 13차례 운항, 체류시간 단축 논란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 현장에서 군 장병들이 사고 현장을 수색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사고 현장에서 48시간 동안 8개 공항을 오가며 13차례 운항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항공기는 사고 발생 이틀 전 기내 환자 발생으로 회항하며 운항 일정이 지연돼 공항 체류시간이 기존보다도 더 줄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1 22:30:47